본문 바로가기
♣ Study 자료/노인교육

고령화

by 수영루치아 2015. 7. 27.

노년 인구 증가의 원인과 문제점

1. 고령화 사회

▶우리나라는 2007년 고령화 사회로 들어섬, 2018년 고령 사회, 2026년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전망임.

2. 고령화 원인

▶사망률 감소에 따른 평균 수명의 증가, 출산 붐 세대에 태어난 연령대의 노년층으로의 진입.

3. 고령화의 문제점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노령화 지수와 노년 부양비의 증가

          → 노동력 부족과 청장년층의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킴.


{{생산 가능 인구가}} 감소하고 노동력이 고령화됨\\각종 사회 보장 제도의 틀이 완전하게 갖추어지지 못함.

고령화에 의한 취업자 수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

4. 고령화의 영향

노동 생산성이 낮아져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음.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노인의 비중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
조세 및 사회 보장 기여금 수입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에 연금 수급자의 증가,

노인 의료비 및 복지비의 상승으로 재정 적자폭이 커질 수 있음.
근로 소득에 적용되는 세금의 부담이 높아질 수 있음.

5. 고령 인구 증가 현상의 심화와 잠재 성장률의 변화

▶고령 인구 비율과 수의 증가

저출산과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전체 인구 중에서 노인 인구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음.

젊은층은 줄어드는데, 의학의 발달 등으로 평균 수명이 증가하여 현 추세가 계속될 경우,

고령 인구 비율이 2050년에는 38.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국가별 고령 인구 비율 변화

현재는 미국,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보다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 비율이 낮으나

2050년에는 거의 최고 수준에 도달하게 될 것임.
이는 선진국은 일찍부터 출생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였기 때문이므로

우리나라도 출생률을 높이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함.



▶잠재 성장률 변화

고령 인구의 증가는 노동력의 고령화와 부양 부담의 증가 등으로 잠재 성장률을 떨어뜨리게 됨.
경제 성장을 위해서도 출생률의 향상이 필요함.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대 잠재 성장률은 1.4%로 낮아질 것으로 예측됨.


              

고령 사회에 대한 대책

1. 노동 참여 계층 증대

▶ 여성 노동력의 활용, 청소년층의 근로 활동 촉진, 노년층의 노동 시장 참여율 증대,

    평생 학습 등 종합적인 프로그램 구상

2. 노동 시장의 개방

▶ 외국인 노동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정책 마련 등

3. 노인 복지 관련 예산 증가

▶ 고령 인구의 증가로 노인 복지 관련 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 재정에도 부담이 될 수 있음.
    앞으로 노년 인구 비율이 더욱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노인 복지 문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며, 출산 붐 세대의 은퇴에 대한 대책을 세울 시기임.




'♣ Study 자료 > 노인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교육론 핵심요약  (0) 2014.12.04
노인교육론  (0) 2014.09.18
노인교육론 11-15장  (0) 2014.07.26
노인교육론 6-10장  (0) 2014.07.26
노인교육론 1-5장  (0) 2014.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