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 자료/한국어교육17 <낫다/낳다> 올바른 맞춤법 <낫다/낳다> 올바른 맞춤법 '낫다'와 '낳다'가 헷갈리는 이유는 발음이 같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사전적 의미로 한 번 읽어 보면 틀릴 일이 없는 아주 쉬운 맞춤법이다. * 낫다 - 1. 보다 더 좋거나 앞서 있다. 2.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쳐져 본래대로 되다. * 낳다 - 1. 배 속의 아이, 새.. 2015. 7. 20. 잠깐만, 잠시만의 차이 잠깐만, 잠시만의 차이 * 잠깐(명사) - 매우 짧은 시간 * 잠시(부사) - 오래지 않은 짧은 동안 기다리다 - 잠시, 잠깐 예) 잠깐 기다리렴, 잠깐 어디 좀 다녀오마 잠시 기다리세요. 잠시 이별 후 다시 만났어요. 잠깐 - 잠시보다 짧은 시간 잠시 - 잠깐보다 긴 시간 2015. 7. 13. 국어를 가르치고 삶을 배우다 시를 쓰는 시간 단절되는 우리를 쓰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몇 년 전 아이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었던 수업 때문이었다. 기말고사가 끝나고 방학을 며칠 앞둔, 교사에게도 학생에게도 가장 수업하기 싫은 날에 나는 아이들에게 시를 써보게 했다. 마침 내가 좋아하는 기형도의 '빈 집'을 수.. 2015. 7. 7. 맞추다, 맞히다.. [질문] 정답을 맞추다? 맞히다? 마추다? 어떤거죠? [답변] ‘맞히다’는 ‘적중하다’의 의미입니다 ‘맞추다’는 ‘대상끼리 서로 비교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답을 맞추어 보았다’는 답이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답지와 시험지를 서로 비교하는 의미이므로 .. 2015. 6. 25. ~던과, ~든의 차이 [질문] 키가 "크던 작던" 또는 "키가 크든,작든"의 ~든 과, ~던이 헷갈립니다 어떤 경우에 다르게 쓰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던 은 과거형에 사용하고 ~든 은 나열, 선택 시 사용합니다. 키가 키든 작든 이라면 나열이기 때문에 ~ 든이 맞습니다. ~던​ 은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 2015. 6. 25. 한국어, 한글 한국어 [명사】 (1) [언어] 한민족이 쓰는 언어. 형태적으로 교착어이며, 계통상으로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어순은 주어, 목적어, 술어의 순이며 구어에서 주어가 흔히 생략될 수 있다. 문법적 성(性)이 없으며 상징어와 경어법이 발달한 언어이다. 유의어 한국말 (韓國-) (1) .. 2013. 1. 24. 영화 - 소중한 사람 소중한 사람 (2001) 折り梅 Ori Ume 요약정보 : 드라마 | 일본 | 111 분 | 개봉 2011-09-21 | 전체관람가 제작/배급 : 영화사 조아(배급), 영화사 조아(수입) 감독 : 마츠이 히사코 출연 : 하라다 미에코 (토모에 역), 요시유키 카즈코 (마사코 역), 토미즈 마사, 타노 아사미, 오카모토 레이 2012. 10. 8. 다문화 왕초급 인사법 및 종결어미에 대해.. 다문화 왕초급 인사법 및 종결어미 등.hwp 2012. 7. 26.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2 교원용지침서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2 교원용지침서 한국어2 교원용지침서.pdf 2012. 2. 20. 다문화가정의 이해 - 강의자료 강의자료 - 다문화가정의 이해 다문화가정의 이해.hwp 2011. 3.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