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tudy 자료/심리학관련

교육심리학 각장별 인명정리

by 수영루치아 2013. 3. 25.

교육심리학 각장별 인명정리


[1장 인간의 이해]

성악설- 순자,아우구스틴,칼빈

성선설- 맹자,루소

백지설- 고자,로크(Tabula Rasa)

타일러- 인간형성의 7가지 기본 특징 제시

길모어- 인간발달의 과업을 일, 인간관계, 자기자신에 관련된 것이라는 세가지 영역으로 구분. 길모어의 발달과업 예시 p.14


[2장 교육과 심리의 학문적 접근]

쿤- 과학발달이 거쳐야하는 단계; 초기발달단계, 두 번째 단계, 과학적 혁명의 단계

오쿠너- 교육이론은 학문적 이론이 아니라는 극단적 관점을 주장

정범모- 교육학은 실천적 학문 내지 경험적 과학

김신일- 교육학은 사회적 현상을 분석하는 사회과학

바레츠-교육심리학의 연구결과를 자명한 것으로 생각하고 상식적 견해 이상의 것을 말해주는 것이 없다는 일반인의 그릇된 견해가 커다란 오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3장 인간발달의 과정과 원리]

해비거스트- 발달과업

힐가드,겟셀(유전결정론)-자 연성숙론의 시각

로렌츠, 프로이드, 슈피츠, 도이귀, 헌트,브 루너, 블룸-환경경험론의 시각

@성숙에 의한 행동의 발생

Tinbergen- 가시고기, 에스키모족의 개 연구

로렌츠- 오리연구, 각인현상, 결정기

카마이클- 올챙이 연구

데니스와 데니스- 호피족 연구

@초기학습에 의한 행동의 발달

리이쓰-물체를 잡거나 움직이는 것을 학습할수없는 조건에서 길러진 쥐는 집짓는 능력상실

비취-자신의 몸을 핥지 못하게 해서 키운 암쥐는 새끼를 기를 능력을 상실한다.

-집안을 돌아다니게 한 쥐들이 실험실에서 자란 쥐보다 미로문제를 더 잘 해결

피아제-발달이론 (인지주의 이론)

          (감각기-전조작기-구체적조작기)

프로이드-정서적 상호작용의 기본형태가 3세경에 학습된다고 주장

할로우-다양한 형태의 대리어미 제공으로 어미의 초기보호의 중요성을 부각

보울비-비행자들은 어린시절에 어머니로부터 분리되어 생활한 경향이 있다는 증거


[4장 학습자의 지적 특성과 발달]

비네(Binet)-일정한 방향을 설정,유지하는 경향성, 소망하는 결과를 성취할 목적으로 순응하는 역량 그리고 자기비판력

터만(Terman)-추상적 사상을 다루는 능력

웩슬러(Wechsler)-유목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종합능력

스피어만(spearman)-지능은 한개의 일반요인과 여러개의 특수요인으로 구성

썰스톤(Thurstone)-7개의 기초정신능력, 중다요인론

카텔(Cattell)-유동적 지능(명석도, 순응성)과 결정적 지능(경험, 교육)

길포드(Guilford)-지능은 120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복합설

      120가지 요인=내용(5)*조작(5)*산출(6) / 수렴적 사고, 확산적 사고(창의력 주창)

피아제(Piaget)-지능은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그 무엇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 또는 조작

게이지와 버라이너-구체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을 취급하는 능력

가드너(Gardner)-다중지능이론;언어지능,음악지능,논리-수학지능,공간지능,신체.근육운동 

      감각지능, 개인내 지능, 대인간 지능

스턴버그-삼원지능이론; 성분적 요소, 경험적 요소, 맥락적 요소

베이리-지능의 양적 발달;버클리 성장연구, 지능성장곡선 p.84

피아제-지능의 질적 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p.89

헌트-지능이 태어날 때 이미 결정되었다는 주장을 통렬히 비판

히버-환경주의자들의 주장을 상당히 지지해 주는 실험결과


[5장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발달]

맨들러와 사라손-시험불안척도 개발 p.102

슈필버거-학습과 불안상태에 관한 일련의 연구

홉프-기대수준(포부수준)의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한 독일의 심리학자

블룸- 학문적 자아개념

카이퍼-1~8학년까지의 학문적 자아개념과 교사평점의 관계 추적

퍼키-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자아개념이 긍정적/학업성적이 부진한 학생은 자아개념이 부정적

로젠탈과 제이콥션-자기 충족적 예언; 교사가 학생들을 어떻게 보느냐가 학생과 학생의 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머레이-성취동기를 처음으로 개념화했으며 그후 맥클렌란드에 의해 더 깊이 연구되었다.

콜버그-도덕성 발달 단계설(6단계)

바움린드-부모양육방식에 따른 자녀의 행동 p.122

         @동기이론

손다이크,스키너,헐(행동주의적 접근)-헐(Hull):

  행동은 동인, 유인, 습관과의 상승작용에 의해 결정

    된다고 주장

웨이너(인지주의적 접근)- 귀인이론, 웨이너의 인과적 귀인모형 p.113

밴듀라(사회학습이론적 접근)- 자기 효능감

매슬로우(인본주의적 접근)- 동기위계설 p.115


[7장 인지주의 학습이론]

쾰러-통찰설, 아하현상

레빈-장이론 

애트킨슨과 쉬프린-기억의 구조이론

크레이크와 락카트-기억의 과정이론

에빙하우스-망각곡선 

손다이크-전이의 동일요소설 주장

젓드-전이의 일반화설


[8장 수업과 교수이론]

@행동주의 수업이론

글레이저-수업의 일반모형 ; 수업목표의 설정, 출발점 행동의 진단, 수업절차, 학습성과의 평가

블룸- 교육목적을 인지, 정의, 심리운동의 3개 차원으로 분류하고 행동적으로 진술

메이거-행동적 수업목표에는 도착점 행동, 조건, 수락의 세가지 구성요소 제시한 교과목이나 학습과제 속에 들어있는 학습소인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의 계열을 체계화하려고 했다.

     갸네의 학습소인구조 p.199

오수벨- 학습준비도

케롤- 수업의 질을 규정하는 네가지의 잠정적 기준

@인지주의 교수이론

브루너-어떠한 과제라도 지적으로 정당한 형태로 구성되면 어느 발달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가르칠 수 있다는 나선형 교육과정. 7가지 전제, 3가지 표상양식, 2개의  학습형태

@인본주의 교수이론-메슬로우, 로저스, 메이, 홈즈

[9장 스트레스와 적응]

홈즈와 레이 ; 사회 재적응 평가척도(SRRS), 인생변화단위 p.225


[12장 평가의 도구]

비네-사이먼 지능검사

웩슬러의 지능검사

집단용 지능검사- 미육군 알파 검사

DAT-종합적성검사 

GATB-일반적성검사 

특수적성검사 

MMPI(미네소타 다면인성검사)-개인의 병리적 수준 검사

CPI(캐리포니아 성격검사)-정상인 집단의 성격 검사

카테의 16가지 성격 검사

로샤(Rorscharch)검사-애매한 모양을 가진 10장의 카드

TAT(주제통각검사)-머레이와 모간이 고안, 20장의 흑백그림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