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 vs 양육
천성 Nature |
양육 Nurture |
Inborn, biological givens |
Physical and social world |
Based on genetic inheritance |
Influence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
◇ 발달영역
1) 신체발달
2) 인지발달
마음의 발달, ‘思考’의 발달, 크게는 언어의 발달도 포함한다. (언어는 규칙체계를 지니고 있다)
3) 정서발달 및 사회발달
인간관계에 영향
자신 - 양육자 간의 발달... 영향 大
·인간은 태내부터 발달이 시작된다.
※ 발달시기
태내기 -10개월 |
conception to birth |
영아기와 걸음마기 |
만 2세까지 |
유아기 |
2세~ 6세 |
아동 중기 |
6세 ~ 11세 |
청소년기 |
11세 ~ 18세 |
성인 초기 |
18세 ~ 25세 |
◆ 발달의 기본 이슈들
1. 연속적인가 비연속적인가 ?
2. 발달은 하나의 과정을 거치는가
다양한 과정을 거치는가?
3. Nature or Nurture ? 선천적 or 후천적 ?
1) Continuous : 영아기의 사고쳬계와 성인기의 사고체계가 질적으로 크게 다를 것이 없다.
dis-continuous : 각 단계에서의 인간의 사고체계는 질적으로 다르다.
※ 피아제 … 발달심리학
생물이 변하는 것처럼 인간도 변한다.
‘스키마(사고방식)’이 아이와 성인이 다르다. 기초개념, 사고방식, 처리속도 등 각 시기마다 다르다.
- 발달의 보편성 강조. 생물학적 기제를 설명
◆ Contexts of Development
- 발달은 유전과 환경의 고유한 조합이다.
그러므로 발달은 다양한 경로를 거쳐서 일어날 수 있다.
ex) 우리나라 … 부끄러움, 수줍음은 타고난 기질로 평가
여자가 부끄러워하거나 수줍어하면 이는 여성스럽다는 평을 들었다. 그러나 미국 사회에서는 이런 기질이 좋지 않은 쪽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역시 이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3) 천성 vs 양육
Nature - 유전적인, 생물학적
Nurture - 물리적, 사회적 환경의 영향
ex) 민수화 상훈의 예
왜 중학교 이후 특목고에 진학하고 나서 성적 차가 나기 시작했을까? -class activity
... 성격, 의지력, 결과해석방식, 지능, 건강상태
... 부모님, 이성관계, 돈, 선생님, 형제, 실패경험
◆ 회복력 있는 아동 (Resilient Children)
· 어떤 요소들이 삶의 스트레스로부터 아동을 보호하는가?
- 높은 지능, 사회성, 긍정적 자질
- 온정적 부모 관계
- 직계 가족 이외의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형제, 부모, 조부모(롤모델이 될수도)
- 지역 사회 지원과 기회
도서관, 상담센터, 교회, ...
◆ 발달의 주요 이론들
* 정신분석적 조망
- 프로이드
- 에릭슨
원초아(Id) : 마음의 가장 큰 부분
무의식, 출생 시 존재
생물학적 욕구와 욕망의 원천
자아(Ego) : 의식적, 합리적인 면
영아기 초기에 나타남
원초아의 충동이 허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함
초자아(Superego) : 양심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3세에서 6세 사이에 나타남.
◆ 프로이드의 심리 성적 단계
* 구강기 (출생-1세)
* 항문기 (1-3세)
* 남근기 (3-6세)
* 잠복기 (6-11세)
* 성기기 (청소년기)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관계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
Birth - 1세 |
자아정체감 대 역할 혼미 |
Adolescence |
자율감 대 수치심 |
1-3세 |
친밀감 대 고립감 |
Emerging Adulthood |
주도성 대 죄의식 |
3세 - 6세 |
생산성 대 침체 |
Adulthood |
근면성 대 열등감 |
6세 - 11세 |
자아통합 대 절망 |
Old Age |
◆행동주의와 사회학습이론
고전적 조건화 (Classical Conditioning) - 자극 / 반응
조작적 조건화 (Operant Conditioning) - 강화 / 체벌
사회 학습 (Social Learning) - 관찰학습(Modeling)
⓵1920's 왓슨 - Baby Albert Experiments
여섯번 반복했는데 처음에 흰쥐에 공포반응을 느끼지 않았으나, 실험할 때 쥐가나올 때마다 큰소리를 내어 아기에게 공포심을
유발하였다. → 공포자극 + 하얀쥐 연합 (리틀 알버트)
before 동물에 공포심 x → after 동물에게 공포를 느낌
행동이 변화하였다. 즉 고전적 조건 형성이 인간에게도 일어남을 알 수 있다.
⓶조작적 조건화 (Operant Conditioning) 강화 & 체벌
ex) 아이가 밥을 잘 먹을 때 부모가 칭찬해주면 아이는 밥먹기를 더 좋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밥을 잘 못먹는다고 꾸짖거나 야단치면 아이는 더더욱 싫어하게 된다.
⓷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행동주의 … 관찰가능한 ‘행동’을 대상으로 연구함
객관화, 수량화 가능한 실험. 연구
※ 피아제 : 논리적 사고방식, 생각
감각운동기 |
Birth - 2 years |
전조작기 |
2 - 7 years |
구체적 조작기 |
7 - 11 years |
형식적 조작기 |
11 years and older |
- 아동은 자신의 세계를 조작 탐색하면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한다.
· 감각운동기 : 감각을 통해 세상을 받아들인다. ~ 2세
사고,상징 x 시,촉,청각 등에만
· 전조작기 : 2~7세
사고, 심상, 언어 (언어는 상징기호이기 때문에 추상적 이해가 필요하므로)
언어…arbitrary community의 구성원간의 약속에 의한 것
말소리와 의미와의 관계는 필연적이지 않다.
‘강아지’라는 말을 들으면 이 대상이 무엇인지 떠올릴 수 있게 된다. 생각은 하되 논리적인 생각은 하지 않는다.
현재 어른인 우리는 ‘가역적’사고‘가 가능하다. 과정을 거꾸로 생각할 수 있는 과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이는 현재 상황만을
생각한다.
▷ 양 보존 개념 실험
: 두개의 모양이 같은 비커에 같은 양의 물을 넣어 놓고, 한쪽 물을 가는 비커에 옮긴다. 그러면 아이는 가느다란 비커에 들은 물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전조작기 아동은 모양을 늘려놓은 것이 더 많다고 대답한다.
▷ 수 보존 개념 실험
이는 수 보존 개념 실험에서 역시 같다.
ex) 똑같은 개수의 구슬을 일렬로 늘여놓고, 1번은 촘촘이, 2번은 조금 넓게 늘여놓으면 아이는 2번이 더 많다고 대답한다.
· 구체적 조작기 7~ 11years
- 전조작기의 실험들에 옳게 대답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가치, 윤리, 신념에 대한 사로를 하지 않는다. 추상적인 사고력이 부족하다
ex) "까만 백조“가 있다고 가정하다. 까만 백조의 날개 색은 무얼까?” ► 아이들은 백조가 까많다고 가정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 형식적 조작기 11세~older
<단계이론>
각각의 단계마다 아이의 사고방식이 질적으로 다르다고 보는 이론.
정보처리이론
1970‘s 인지혁명 나타나면서 등장. 인간의 사고도 컴퓨터의 정보처리체계로 보는 관점이다.
ex) '강을 건널 수 있는 다리를 만들어라.‘고 문제를 내었을 EO 7세들은 보통 성공했다. 5세들은 문제해결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 중 한 아이가 여러번 시행착오를 거쳐, 다리를 완성시켰다. - 나름대로의 논리 해결을 거쳐서.
◇ 반복암송 - 정교화(ellaboration)
메탈 communication ? .... 아이들이 점차 기억들을 발달시킴
◆ 동물행동학
◎ 민감기 : 특정한 능력이 일어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
이 기간동안 발달하는 개체는 환경적 영향에 특히 더 반응적이다. 발달은 나중에 일어날 수도 있으나 그 때는 유발하기가
좀 더 어렵다.
▷ 결정적 시기 라고도 불리운다.
민감기 --- 환경에 민감하고 발달이 일어나면 더 쉽게 일어난다.
이 시기가 지나면 안된다는 것.
민감기는 결정적 시기에 비해 잘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인간에게서 애착이 나타나는 이유가 민감기 때문이 아닐까. 언어발달이 민감기에서 발생한다.
ex) 밸리포니아의 13살
지니. 13살이 될 때까지 타인과 이야기 해본 적이 없다.
부모가 다락방에 묶어 놓고 키움.
- 민감기가 지났기 때문에 언어를 발달시키기 어려운 것이 아닌가 ?
◆ 진화론적 발달심리학
동물 행동 발달처럼 인간의 발달도 진화론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닌가.
· 동물행동학을 확장
· 인간능력의 적응적 가치가 무엇인가
· 연령에 따라 변화하는 인지, 정서, 사회적 능력의 가치
· 인간의 아동기가 긴 것은 사회적, 기술적인 환경에 숙달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신생아가 ‘얼굴’을 시각적으로 선호하는 이유 ~ ‘생존’ 에 있어서 무슨 역할을 하나?
사람은 얼굴을 좋아해야 보살핌을 받고 사랑 받을 수 있다. 그 후에 낯선 사람과 양육자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 왜 아동들은 성별로 나뉘어서 놀이를 하는가 ?
왜 성분화가 이루어지나. 성유형화된 학습.
◆ 비고츠기의 사회문화적 이론
: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가치. 신념, 관습, 사회집단의 기술 등 ‘문화’가 어떻게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가.
-문화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부모와의 협력적 대화를 통해 학습이 가능하다.
‘환경’ 강조한 이론 … 생태체계이론 structure of the Environment
인간이 처한 생태학적 배경,상황 등을 주시한다.
‣ 부모님, 가족(형제...)
‣ 친구 (또래집단)
‣ 종교집단
지역사회
학교
나라 (국가) ... 교육, 복지 서비스
문화와 가치를 배울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아이들의 발달과정은 외국의 발달과정과 다를 수 있다.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
미시체계와 중간체계 끼리의 관계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나
◆ 계속 변화하는 체계
◇ Bronfenbrenner : 시간체계 (chronosystem)
- 체계는 시간이 흐르며 계속 변화한다. 아이들이 체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 Children are both products and producers of their environment.
아이의 동생
아이가 힘들어하면... 무모가 양육을 좀 바꿀 수도 있따.
ex) 할머니를 모셔옴
아이가 처한 환경에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영향을 주기도 한다.
'♣ Study 자료 > 심리학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는 껌 딱지 - 애착 (0) | 2014.12.08 |
---|---|
발달심리학 이론별 정리 (0) | 2014.11.24 |
성도착증에 대하여 (0) | 2014.08.22 |
교육심리학 각장별 인명정리 (0) | 2013.03.25 |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및 Skinner의 작동적 조건형성 (0) | 201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