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계선 인격장애
①버림받는다는 생각이나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미친 듯 노력한다
②남을 극단적으로 이상화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것을 반복한다
③자신에 대한 이미지나 생각이 불안정하다
④부주위한 운전이나 과소비 도둑질 과식 등 자신에게 해로운 버릇이 2개 이상 있다
⑤자살 시도나 제스처 위협, 자해행동을 한다
⑥수시로 공허한 느낌이 든다
⑦기분이 들떴다가 가라앉는 등 불안정해지고 불안하다
⑧자주 울화통을 터뜨리거나 화를 조절하지 못해 불편해한다
⑨스트레스를 받으면 일시적으로 심한 피해의식을 느끼거나 자신을 통제할 수 없다
※5개 이상이면 해당 된다네요.
1. 경계선이란 무엇인가?
경계선이라는 단어는 신경증과 정신증의 “경계”를 언급한 것이다.
경계선 장애를 인격장애로 생각하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10년전부터 논의되어 온 것이지만 일반화가 된 것은 1980년 전후이다.
그 이전에는 신경증으로도 정신병으로도 말 할 수 없는 일군의 환자로서 이해되었다.
∙신경증과 정신증의 경계선
신경증적 문제는 현실 인식과 생활 적응에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지는 않지만 주로 정서적 또는 행동적 측면에서,
그리고 주변 사람들과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해 나가는 과정에서 상당한 정도의 불편과 고통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감정의 변화가 심하거나, 우울, 불안, 공포 등 부정적 감정을 계속해서 경험하거나,
주어진 상황에 부적절한 행동을 되풀이하거나, 의기소침,
의욕상실, 무기력 등이 지속되거나 상황에 적응해 나가는 데 도움이 안되는 생각들을 자주 하게 되거나,
주별 사람들과 마찰과 갈등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것 등이 신경증적 문제의 예들이다.
정신증적 문제는 현실의 인식과 기본적인 생활 적응 자체가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를 지칭하며,
흔히 정신병이라고 부르는 것들이 여기에 속한다.
현실인식 능력에 있어서의 손상이다.
현실에 대한 지각이 심하게 왜곡되어 나무를 귀신이라고 하고 비행기를 우주선이라 하기도 한다.
'♣ Study 자료 > 심리학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관련 자가진단법(의사소통장애,난청,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0) | 2008.01.22 |
---|---|
ADHD (0) | 2008.01.22 |
의사소통 유형검사지 (0) | 2007.12.31 |
우울증 척도검사 (중학생용) (0) | 2007.12.29 |
아이의 거짓말을 다루는 방법 (0) | 2007.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