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tudy 자료/한국어교육

<낫다/낳다> 올바른 맞춤법

by 수영루치아 2015. 7. 20.

<낫다/낳다> 올바른 맞춤법

 

'낫다'와 '낳다'가 헷갈리는 이유는 발음이 같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사전적 의미로 한 번 읽어 보면 틀릴 일이 없는 아주 쉬운 맞춤법이다.

 

* 낫다 - 1. 보다 더 좋거나 앞서 있다.

             2.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쳐져 본래대로 되다.

* 낳다 - 1. 배 속의 아이, 새끼, 알을 몸 밖으로 내 놓다.

             2. 어떤 결과를 이루거나 가져온다.

             3. 어떤 환경이나 상황의 영향으로 어떤 인물이 나타나도록 하다.

 

사전적 의미를 보면 '낫다'와 낳다'에 대해 바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낫다'는 '상태가 좋다, 좋아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낳다'는 새로운 것을 창출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1. 나는 여름보다는 겨울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2. 둘 가운데 이것이 더 나아 보인다.

3. 간염은 잘 낫지 않는 병이다.

4. 병이 씻은 듯이 다 나았다.

5. 아이를 낳다.

6. 자식을 낳아 기르다.

7. 조국의 분단이 비극을 낳았다.

8. 사랑은 기적을 낳는다.

9. 손연재는 우리나라가 낳은 최고의 체조선수다/

10. 김해는 故노무현 대통령을 낳은 도시다.

 

* 1, 2번은 '낫다'의 '1'번 의미

* 2, 4번은 '낫다'의 '2'번 의미

* 5, 6번은 '낳다'의 '1'번 의미

* 7, 8번은 '낳다'의 '2'번 의미

* 9, 10번은 '낳다'의 '3'번 의미다.

 

이때 2, 4번은 좀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는데, 2,4번에서는 '낫다'가 '나아', '나았'으로 쓰였다.

이것은 우리 국어의 문법 형태인 'ㅅ' 불규칙에 의해 'ㅅ'이 탈락하기 때문이다.

 

'♣ Study 자료 > 한국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깐만, 잠시만의 차이  (0) 2015.07.13
국어를 가르치고 삶을 배우다  (0) 2015.07.07
맞추다, 맞히다..  (0) 2015.06.25
~던과, ~든의 차이  (0) 2015.06.25
한국어, 한글  (0) 2013.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