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창성에 도움이 되는 것
1. 생활방식
1) 가능한 한 가저에서 차분하고, 서두르지 않는 생활방식을 제공한다.
2) 저녁식사 동안은 TV, 라디오, 오디오, 컴퓨터 등을 끈다. 이 시간을 가족간의 대화시간으로 이끈다.
3) 방과 후 아이가 차에 탔을 때, 아이에게 질문 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아이가 대화를 시작하고, 마음에 걸려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게 한다.
4) 아이가 이야기할 때, 아이를 향해 이야기하거나 아이가 생각하는 말을 빨리 끝내도록 재촉하지 않는다.
2. 의사소통태도
1) 아이에게 말할 때, 특히 많이 더음을 때 급하게 말하지 않는다.
2) 아이가 충분히 자신의 생각을 끝마치도록 기다린다.
3) 아이의 질문이나 설명에 대답하기 전에 잠시 기다린다.
4) 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을 하거나 야채를 써는 일 등 만일 당신이 집중을 요하는 일을 하는 동안 아이가 이야기를 시작하면 지금 당장은 얘기를 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 나중에 얘기를 들어 줄 것을 이해시킨다.
** 유창성에 방해가 되는 것
1. 생활방식
1) 가정에서 지나치게 서두르는 생활태도를 유치하거나 아이가 그렇게 느끼도록 한다. 마치 "이건 어제 끝냈어야 하잖아"하는 식으로 행동한다.
2) 친구나, 친척, 이웃들이 방문했을 때, 사람들 앞에서 거의 말을 하지 않고 놀게 하거나 큰 소리로 읽게 한다.
2. 의사소통 태도
1) 아이의 말을 대신해서 끝내준다.
2) 아이가 자신의 생각이나 말을 빨리 끝내도록 재촉한다.
3) 아이가 말하는 중간에 끼어든다.
4) 항상 아이에게 서둘러서, 정확하게, 어른들처럼 완전하게 말하도록 재촉하거나 요구한다.
5) 아이의 말을 자주 수정하고, 비판하고, 아이가 말하는 방식을 바꿔주려고 하거나 아이의 발음이나 단어를 교정해준다. 또는 아이에게 "제대로 말해봐"라고 말한다.
6) 아이에게 빠른 속도로 말을 한다. 특히 아이에게 천천히 얘기하라고 말하는 도안에도 부모 자신은 빠른 속도로 말을 한다.
** 부모가 아이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일
1. 아이의 형제자매에게 허락되지 않는 것을 말더듬는 아이가 하도록 내버려두어서는 안된다.
2. 가능한 한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가 어떻게 말하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말하는지에 집중해준ㄷ. 아이가 말하는 내용에 반응한다.
3. 의사소통을 도울 수 있는 "하지 말아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아이를 대신하여 단어나 문장을 끝마치지 않는다.
2) 끼어들지 않는다.
3) 아이가 말하는 방법, 발음, 아이의 문법적인 면이나 아이가 말할 때의 실수들을 고쳐주지 않는다.
4) 아이가 말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
5) 조용하고 천천히 편안한 방법으로 말한다.
6) 아이가 말을 끝낸 후 대답하기 전에 약 2-3초간 기다린다.
7) 질문을 많이 하지 않는다. 질문을 할 때에는 한번에 한 가지씩 묻고 아이에게 대답할 시간을 충분히 준다.
8) 무엇보다 가족 모두가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도록 노력한다. 누군가 말을 할 때 다른 사람은 듣고, 자신이 말할 차례를 기다린다.
'♣ 여는 문 > 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환별 자가진단 (0) | 2010.12.24 |
---|---|
질환별 절대 먹어선 안되는 음식! (0) | 2010.10.18 |
남성의 우울증 (0) | 2010.08.23 |
여성의 갱년기 증상 (0) | 2010.08.13 |
아내의 폐경 그리고 남편의 은퇴 (0) | 2010.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