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GU HISTORY
동구의 역사는 태고적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5년 송림산록에서 작은 돌도끼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인천지역에서 발견된 최초의 선사시대 유물이다.
만석동에서는 1949년 흑색 점판암으로 길이 8.5㎝ 폭 5㎝ 크기의 돌도끼가 발견되었으며
동구의 유일한 섬이며 과거 물치섬이라 불렸던 작약도의 조개더미에서
석기와 빗살무늬토기 및 돌화살촉이 출토되기도 했다.
동구는 구한말 서양외세에 처음으로 문호를 개방하여 근대문물을 받아들이는 근대화의 역사적 현장이었다.
1866년에는 병인사옥과 관련하여 리델등 선교사의 구원요청을 받은 프랑스 해군제독 로즈의 함대가
강화성을 공략하기 위해 현재 작약도라고 불리는 물치도에 잠시 정박한 적이 있었다.
한편 잦은 외세의 침략으로 수도의 관문인 인천에 대한 방비책이 거론되면서
1879년(고종 16년) 현재 화수동 128번지 주변 일대에 화도진을 설치함과 아울러
묘도(괭이부리), 북변포대등 7개 포대를 관할케 하였다.
화도진은 1882년 5월 22일 화도진 언덕에서 조선의 전권대신 신헌과 미국의 슈펠트 제독이
한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역사적 장소이며,
다음해인 1883년 개항을보게 된 유서깊은 지역으로써
1992년에는 한미수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표지석을 제막한 바 있다.
또한 인천 최초의 신식교육 발상지인 영화학교(인천영화초등학교)가 1894년 4월 설립되었고
1907년 5월에는 인천최초의 보통학교(현 창영초등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06년 11월에는 송림동과 노량진간의 인천상수도가 개통되었다.
동구는 일제치하에서 경인공업지대의 중심지였다.
현 동일방직(주)전신인 동양 방적(주)가 1934년 설립되었고
현 대우중공업의 전신인 조선기계제작소가 1937년 설립되었으며
현 인천제철(주)의 전신인 조선이연금속(주)이 1940년 설립되었다.
동구는 1948년 정부수립후 1949년 5월 당시 인천시의 본청관할 구역내에 속하였다.
1956년 11월 23일 인천시조례 제114호로써 인천시출장소설치조례를 개정하고
1957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는데 기존의 5개 출장소외에 본청관할 구역을
중 부, 북부,동부,남부,등 4개의 출장소 관할구역으로 분획하고
여기에 각각 새로운 출장소를 증설토록 하였다.
현재 동구의 모태가 된 행정구역은 북부출장소(11개동 관할)와 동부출장소(8 개동 관할)가
관할하였던 지역이었다.
1962년 11월 21일 법률 제 1175호로써 부천군 영종면 운남리 작약도를 인천시 만석동에 편입케 하고
1963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는데 여기에서 북부출장소와 동부출장소가 병합되어 동구가 설치되었다.
1973년 3월 12일 대통령령 제 6542호로써 동구관할의 월미도를 중구로 편입시켜
1973년 7월 1일부터 시행하였다.
1981년 3월 13일 법률 제 3424호로써 직할시 승격으로 인천직할시동구가 되어
1981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1988년 4월 6일 법률 제 4004호로써 자치구제가 1988년 5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1994년 12월 20일 법률 제 4789호로써 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어 인천광역시 동구로 되어
199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 화수1,2,3 송현4동 → 화수1,3동, 화수2동, 송현4동
- 송림3동 → 송림3동부동, 송림3서부동
- 송림1,2동 → 송림1동, 송림2동
- 송림4동 → 송림4동, 궁현동
- 화수1,3동 → 화수1동
- 화수2, 송현4동 → 화수2동
- 금곡1,2동 → 금곡동
- 송림3동부동 → 송림5동
- 송림3서부동 → 송림3동
- 궁현동 → 송림6동
- 금곡동, 창영동 → 금창동
- 화수1동, 화평동 → 화수1·화평동
- 송현1동, 송현2동 → 송현1·2동
- 송림3동, 송림5동 →송림3·5동
'♣ 여는 문 > 떠나자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담양 소쇄원과 죽녹원 (0) | 2016.09.01 |
---|---|
도봉산을 오르는 다섯 가지 방법 (0) | 2016.03.24 |
여름에 가기 좋은 수도권 인근 휴양림 (0) | 2015.08.07 |
포천 백운산 (0) | 2015.07.30 |
대중교통으로 춘천여행 (0) | 201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