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 가정 제례 예식
신자 가정에서 의무적으로 제례를 지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신자 가정에서는 기일 등 조상을 특별히 기억해야하는 날에는 가정의 제례보다 우선하여 위령미사를 봉헌한다.
(사목 지침서, 제135조 1항 참조)
그러나 여러 가지 필요로 기일 제사나 명절 차례를 지내야 하는 가정은
" 한국 천주교 가정 제례 예식"을 기준으로 제례를 지낼 수 있다.
준비사항
몸과 마음의 준비 : 제례 전에는 고해성사를 통해 마음을 깨끗이 하며, 제례때에는 복장을 단정하게 갖추어 입는다.
상차림 : 제례상은 음식을 차리지 않고 단순하게 추모 예절만을 위한 상을 차릴 수도 있다.
상 위에는 십자가와 조상(고인)의 사진이나 이름을 모시며, 촛불을 켜고 향을 피운다.
그밖에 [성경], [가톨릭성가], [상장예식 또는 위령기도] 등을 준비한다.
음식상을 차릴 때에는 형식을 갖추려 하지 말고 평소에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소박하게 차린다.
시작예식
제례 준비가 끝나면 가장은 아래와 같이 제례의 시작을 알리며 예식을 진행한다.
(기일에는)
지금부터 ( )의 기일을 맞이하여 제사를 거행하겠습니다.
(설이나 한가위에는)
지금부터 설( 한가위)을 맞이하여 차례를 거행하겠습니다.
성호경
참석한 모든 이가 십자 성호를 긋고 예식을 시작한다.
시작성가
[가톨릭성가]에서 자유롭게 선택한다.
성가 50번(주님은 나의 목자), 54번(주님은 나의 목자), 227번(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라),
436번(주 날개 밑), 462번(이 세상 지나가고) 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
시작기도
가장은 오늘 거행하는 제례의 취지를 설명한 다음, 가족들의 마음을 모으는 기도를 바친다.
말씀예절
성경봉독
아래에 있는 성경 말씀 외에 다른 본문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마태 5,3-12(참행복), 요한 14,1-14(아버지께 가는 길), 로마 12,1-21(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생활과 생활 규범),
1코린 13,1-13(사랑), 에페 5,6-20(빛의 자녀)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
추모 예절
분향과 절
가장이 대표로 향을 피우고, 참석한 모든 사람이 다 함께 큰 절을 두 번 한다.
위령기도
긴 위령기도를 바치거나, 노래로 부를 때에는 [상장예식 또는 위령기도]를 참조한다.
마침 예식
마침성가
[가톨릭성가]에서 자유롭게 선택한다.
성가 50번(주님은 나의 목자), 54번(주님은 나의 목자), 227번(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라),
436번(주 날개 밑), 462번(이 세상 지나가고) 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
성호경
성호경으로 예식을 마친다.
출처 :한국 천주교주교회의
'♣ Study 자료 > 생활의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문동 (0) | 2015.08.13 |
---|---|
api는 무슨의미인가요? (0) | 2015.08.12 |
제사 지내는 법 (0) | 2015.08.03 |
기찻길에 돌멩이를 깔아놓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0) | 2015.07.29 |
여름 휴가철, 유용한 공공정보 10선 (0) | 201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