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문학이란 무엇인가
제 1장 총론
1. 문학의 기원
* 심리학적 기원설
- 모방충동설 : 인간은어린시절부터 모방에 의해 배우며 또 모방을 잘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문학과 예술도 이와 같은 본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발생되었다는 학설
( 플라톤, 아리스토텔리스 )
“ 대체로 어떤 두개의 원인이 시를 낳는데, 그 어느 원인도 사람의 성정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것이다. 제일의 원인은 사람의 모방성이다. 왜냐하면 모방한다는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어린애의 시절부터 본능적으로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사람이 다른 동물과 다른 점은 사람은 가장 모방적인 동물이며 사람의 최초의 지식은 모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데 있다.
그와 함께 사람은 모두 모방된 것에 기쁨을 느낀다는 것 또한 사람의 본능이다. 이것이 제2의 원인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4장> 중에서
=> 모방충동설
- 유희충동설(유희본능설) : 인간이 생명 보존 본능과 종족 보존 능력 이외에 남은 정력으로 유희를 즐기는데서 문학 예술이 비롯되었다는 학설 ( 칸트, 실러, 스펜서)
- 자기과시설 : 문학과 예술은 자기를 스스로 표현하려는 본능에 의하여 창작되어진다는 학설
( 허드슨 )
* 발생론적 기원설 : 문학 예술의 발생은 실제의 생활과 관련을 맺고 있으며 실용성에 의해서 비롯되었다는 학설. 헌과 그로세는 일체의 예술 현상을 사회성으로 설명하고자한다. 예를 들면 야만인들의 무용도 일상 생활 중의 하나인 사냥하는 행동을 연습하는 것이라는 실질적인 의미를 띠고 있다고 생각하여 반드시 실생활의 필요에 따라 유희가 생겼다고 주장하는 학설
* 문학 : 언어를 통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예술(언어예술체)
* ars : 예술 (art)의 어원으로 숙련하다. 만들다. 창조하다의 뜻을 가진 라틴어
* techne(테크네) : 학문과 경험의 중간형태의 뜻을 가진 희랍어
* 아리스토텔레스의 techne(테크네) 분류
- 생활상의 필요에 의한 techne(테크네) 기술
- 기분전환과 쾌락을 위한 techne(테크네) 기술 - 음악, 미술
2. 문학의 어원과 속성
* 문학의 어원 : 원래 라틴어 litera에서 왔는데 ‘언어로 된 모든’글을 의미하는 letter과 같은개념.
나무껍질 등을 벗겨 동물의 뼈로 글을 쓴 것이나, 동굴의 벽에 써 놓은 글 등도 모두 litera의 범주에 들어감, 예술적인 글뿐만아니라 실용적인 글도 모두 포괄하는 것이 문학의 원초적 개념
*최근의 문학적 개념 : 예술적인 의장이 포함되어 있는글, 상상력에 바탕을 둔 미적인 범주의 글 만을 포괄한다.
* 언어의 분류
- 과학적 언어 : 개념의 정확성을 바탕으로 삼는 언어, 과학적 언어의 대상과 언어의 관계가
1 대 1의 대응관계가 있을 때 (denotation 외연),지시적 사용
예) 과학 논문, 국어사전, 법조문, 공문서
LA 리치WM의 분류 - 과학적 언어 : 진술, 예술적 언어 : 가진술
쿤즈의 분류 - 과학적 언어 : 논증, 예술적 언어 : 표현
- 예술적(문학적) 언어 : 과학적 언어와 상충관계, 내포를 통한 언어의 함축적 의미에 의한 사용을 의미함 예) 시- 비유, 상징 . 소설 - 아리러니, 풍자..
- 일상적 언어
옮겨다 심은 종려나무 밑에/ 빗두루 선 장명등/ 카페 프랑스에 가자
이놈은 루바쉬카/ 또 한놈은 보헤미안 넥타이/ 뻣적 마른 놈이 앞장을 섰다
밤비는 뱀눈처럼 가는데/ 페이브먼트에 흐느끼는 불빛/ 카페 프랑스에 가자
- 이 시는 정지용이 청년기인 1926년 <학조> 제1호에 쓴 시이다.
외래어의 남발과 도시적 서정을 노래.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
루바쉬카 : 러시아 남성 민속의상, 보헤이만 넥타이 : 스카프 모양의 폭이 넓은 넥타이
=> 외래어로서 이질성을 염두에 두고 쓴 시어들.
뱀 : 을씨년스럽고 차가운 느낌을 주는 시어. 식민지적 현실의 암울함을 상징
3. 미를 둘러싼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차이
* 플라톤 : 감각적, 현상적 세계에 있는 미의 이데아의 불완전한 반영일 때 비로소 아름다운 것이 지 그 자체로는 아름다운 것일 수 없다.
* 플라톤의 기술의 분류
- 획득되는 기술
- 제작되는 기술 - 예술
* 아리스토텔레스 : 아름다움은 크기와 질서에 있다.
4. 문학의 네가지 관점
* [ 거울과 램프]를 쓴 영미비평가 에이브럼즈의 문학의 관점
- 모방론 : 문학을 삶의 현실과 연관시켜 정의를 내리는 입장
플라톤 - 이데아 사상, 시인추방론 제시, 문학검열제도의 도입 제시
아리스토텔레스 - 개연성의 법칙: 문학을 통해 예술가는 허구의 세계를 꾸며내지만 무의미한 허구가 아니라 의미 있는 즉 인간의 진실성을 담고 있는 보편적인 세계를 담아내고 있다.
- 표현론 : 문학이 작가의 창조력에 의해 완성되는 작품이라는 점에 중점을 둔 이론
영감설 : 문학작품이 작가의 영감이나 천재성, 광기의 소산이라는 입장
장인설 : 문학작품의 작가의 후천적인 노력이나 조형생리, 상상력의 발로라는 입장
- 효용론 : 문학작품과 독자와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이론
공리설(교훈설) : 문학작품이 독자들의 인생에 질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감동을 담고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입장, 톨스토이의 예술감화론
쾌락설(오락설) : 문학작품이 단순히 재미를 주고, 여가선용에 도움이 되며, 작품을
읽어나가는 과정에서 쾌감을 준다는 입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충동설에 근거한 쾌락설
- 존재론 : 문학작품 자체의 존재가치를 규명하는 이론
문학유기체설 : 문학작품을 발달된 생물체의 조직과 같은 성질을 가졌다고 해서
유기체에 비유
얼굴 하나야/ 손바닥 둘로/ 폭 가리지만/ 보고 싶은 마음/ 호수만 하니/ 눈 감을밖에
- 정지요, [호수(湖水)]
제 2장 시론
1. 시의 언어와 서정시
* 시언어의 특징 - 의사진술성, 함축성, 사물성, 애매성
- 의사진술의 언어 : 진술의 형태를 가지지만 과학적인 혹은 객관적인 진위와는 상관없는 진술
시가 전달하는 정서를 가지고 참과 거짓을 나눌 수 없기 때문이다.
- 함축성
- 애매성 : 한 낱말이나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뜻을 동시에 지니는 것
울만의 애매성의 분류 : 음성적 애매성, 문법적 애매성, 어휘적 애매성
- 사물성
무의미시 : 시에서 언어만 있을 뿐 의미는 존재하지 않는 시
* 서정시의 본질 : 서정적 자아에 의한 일인칭 자기고백체, 주관표출의 문학양식, 순간의 형식
- 서정시 : 순간의 주관적 감정을 자기고백체로 기술해 놓은 시
- 자기 동일성 : ‘서정시는 세계를 자아화한다’ 라는 개념
- 시의 동일성 : 자아와 대상, 자아와 세계의 거리가 소멸화 되는 것
- 서정시의 속성 ; 자아와 세계가 동일화되는 체험의 순간을 자기고백체로 기록하는 것
2. 시의 운율
* 시의 2대 요소 : 운율과 이미지
반복 : 운율의 가장 중요한 요소
운율(韻律) - 운 : 동일한 소리가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
- 율 : 소리의 양이 반복되는 것
음위율 (압운) : 각 행의 일정한 위치에 비슷한 소리가 나는 말을 반복해서 배치할 때 생기는
외형상의 운율
음보 : 한번의 호흡 속에 발음하게 되는 단위
3음보 : 고려속요나 민요에 나타나는 서민적 리듬
4음보 : 시조나 가사 등 사대부들의 문학에 주로 나타나는 리듬
3. 이미지의 분류
1) 지각 이미지 ( 감각적 이미지 ) : 시각, 청각, 후각 등의 감각적 반응을 이루는 것
감각적 이미지의 종류 :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기관, 근육감각, 역학, 공감각적 이미지
촉각적 이미지 : 열도 심상, 냉각 심상, 감촉 심상
공감각적 이미지 :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이 결합한 이미지
2) 비유적 이미지 : 비유가 이미지로 사용되는 것
3) 상징적 이미지 : 집단적이고 전통적인 상징이 이미지로 사용되는 것
4. 시의 수사학
* 비유
1) 직유 : ···같은, ···인양,··· 인 듯, ···만큼, ···처럼 과 같은 연결어를 통해 결합되는 비유
2) 은유 : ‘가’는 ‘나’이다 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비유
3) 환유 : 대상의 속성이나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특징을 통해서 원관념을 비유
4) 제유 : 부분으로 전체를 나타내는 비유
* 상징 = 직접적, 단선적으로 의미를 드러내지 않고 간접적, 복선적으로 의미를 암시
관습적 상징
1) 자연적 상징 : 인간의 보편적 심성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비슷한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상징 ex) 하늘 = 신성함, 무한대 , 태양 = 광명이나 희망, 별 = 이상
2) 제도적 상징 : 특정한 국가나 종교, 단체들에 의해서 특수하게 사용되는 상징
ex) 태극기 = 우리나라, 만나라 = 불교, 십자가 = 기독교
3) 알레고리컬 상징 : 그 의미가 더 이상 암시적이지 않고 한가지의 명백한 의미로 고착되어 버린 상징 ex) 비둘기= 평화, 대나무 = 절개
개인적 상징 = 시인 개인의 개성과 창조적 상상력이 담긴 창조적 상징
제 3장 소설론
1. 소설(小說) = 풀어 헤쳐 드려낸 작은 이야기
* 동양에서의 소설 =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
장자의 [외물편] : 소설은 상대방의 환심을 사기 위해 꾸며낸 재담
환담의 [신론] : 소설가들은 자질구레하고 짧은 말들을 모아서 가까운 것에서 비유적인 표현을
위해 짧은 글을 만들었다.
* 서양에서의 소설 = 중편이상의 길이를 가진 이야기, 로망에 비해 새로운 이야기
* 소설가란 대개 패관에서 나왔다. 거리나 골목에서 떠도는 이야기를 길에서 듣고 길에서 이야기하는 대로 지어낸 것이다.
* 고려 시대 이규보의 [백운소설]에서 소설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됨
=> 잡다한 이야기의 모음, 오늘날 소설의 의미와 다름
2. 소설의 정의
1) 소설은 연애를 우습고 재미있게 쓴 이야기이다. (s. Johnson)
2) 소설은 적당한 길이의 산문으로 된 가공적인 이야기이다 (E.M.Forster)
3) 소설은 증류된 인생이다. (C.Hamilton)
4) 소설은 인생의 해석이다. (W.H.Hudson)
* 소설은 허구적인 이야기와 서술적인 산문으로 인생을 표현하는 창작문학의 한 장르
* 소설은 작가에 의해 창조되고 가공된 이야기의 기록
* 소설은 우리들의 상식으로 그럴 수 있다고 수긍할 수 있는 이야기 (개연성,probability)
* 허구(虛構) : 독자들에게 이야기를 현실감 있게 전달하기 위한 문학적 기술
* 소설은 서술의 방식을 가지고 화자를 통해 독자에게 이야기의 의미를 전달
* 몰턴의 문학 형태도
시 (poetry)= 존재에 플러스하는 창조적 문학
서사시 서정시 극시
서술 (말) 명상 (음악) 표출 (동작)
서술 Ballad Dance 말/ 소리/ 몸짓 표출
역사 철학 =이미 존재하는 것을 토의 웅변
서술 명상 표출
산문 (prose)
소설은 우리의 삶을 근거로 하는 인생의 이야기
3. 소설의 기원
1) 고대의 서사시로 보는 견해 : 이야기와 서술에 주목하여 소설의 기원을 고대 서사시에서
찾으려는 관점
2) 로망스로 보는 견해 : 중세의 서사문학인 로망스에서 소설의 기원을 찾으려는 관점
* 로망스 : 중세 유럽에서 로망스어로 쓰인 사랑과 무용을 다룬 기사이야기
3) 근대소설로 보는 견해 : 소설을 근대의 산물로 보는 관점
* 소설의 기원을 근대소설로 보는 견해
- 사회적인 변화에서 소설의 출발을 설명
- 로망스의 양식에 대한 거부작용에서 소설의 양식이 등장
신화 - 신
서사시 - 영웅
로망스 - 기사, 귀족계급 / 고대소설 - 양반계급
근대소설 - 평범한 이웃, 갑남을녀
근대소설의 특징 : 서사시나 로망스보다 평범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 Study 자료 > 한국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음이의어와 동의어 (0) | 2009.07.03 |
---|---|
순 우리말 이름과 이름의 뜻 (0) | 2009.03.02 |
경인일보 기사.. 다민족 한국어 교실 (0) | 2008.10.10 |
원고지 쓰는 법 (0) | 2007.06.04 |
한글교실 종강식 (0) | 2006.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