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이해론
1. adolescence라는 개념의 의미?
성숙하다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유래-청소년기를 뜻함.
2. 청소년기를 가르키는 다양한 용어들
① 과도기 ② 주변인 ③ 질풍노도의 시기 ④ 지불유예기
3. 청소년기의 가장 궁극적인 발달과업은?
① 자아정체성의 확립 ② 친밀한 관계의 형성
4. 청소년기의 자기중심성?
① 개인적 우화 ② 상상적 청중
5. 타인의 생각과 감정의 존재를 인정하되 그것의 내용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과 똑같다고 상정하는 것
Elkind의 청소년기 자기중심성(유아의 자기중심성과 다르다)
6.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징
① 강도 높은 정서적 경험
② 방어기제 발달
③ 정서적 경험에 대한 자각적 태도
7. 청소년기 초기에 정서적 경험과 인지적 해석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자아구조가 약화됨에 따라 경험하는 주된 정서?
수치감
8. Hall의 재현이론?
각 개인의 발달은 인류의 발달 역사를 재현한다. 개체 발생과정을 따른다는 것이다.
발달단계 |
나이 |
발달적 특징 |
유아기 |
0~4세 |
유아가 동물적이고 원시적인 발달을 재현하는 시기 |
아동기 |
5~7세 |
아동의 상징놀이는 과거인류의 동굴생활, 수렵, 사냥활동 재현한 것 |
청소년전기 |
8~14세 |
인류가 인간으로서의 특성과 야만인으로서의 특성을 동시에 가짐, 아동은 이 시기에 연습과 훈련으로 여러 기술을 획득한다. |
청소년후기 |
14~25세 |
인류가 야만적인 생활에서 문명시대로 접어드는 시기이며, 제2의 탄생기-급진적 변화를 겪고 안정적이지 못하다 |
성인기 |
25세이후 |
인류의 문명적 생활 |
9. McCandless의 청소년기 추동이론?
추동은 추기체로 하여금 행동을 수행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개인의 추동수준은 청소년기에 증가하는데, 이러한 추동 수준의 차이는 아동과 청소년의 행동상의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 ← 사회문화적 차이도 중요하다.
10. 청소년기 방어기제 (아동기 이전에 나타나기는 미약하다. 논리적 사고가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① 합리화 ② 억압 ③ 전이 ④ 동일시 ⑤ 주지화 ⑥ 반동형성 ⑦ 투사 ⑧ 부정 ⑨ 승화 ⑩ 금욕주의
1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형식적 조작사고
12. Kohlberg의 도덕성 이론
청소년기-도덕성 상대주의, 자율적 도덕성을 특징으로 한다.
13. Erikson 이론 - 정체감 대 역할혼미
14. Marcia의 자아정체감 유형
|
위기경험 ○ |
위기경험 × |
수행 ○ |
정체감 성취 |
정체감 유실 |
수행 × |
정체감 유예 |
정체감 혼미 |
15. Sulivan의 대인관계 이론
개인의 성격은 대인관계의 결과이며, 대인관계 접촉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점은 긍정적인 피드백에 있다.
16. Bandura 사회학습 이론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여러 변화들은 청소년기 자체가 지닌 필연적인 발달 현상의 특성이 아니라 문화적 조건과 사회적 기대 때문이라고 본다.
① 대리강화에 의한 학습
② 상징적 활동
③ 선행사고 활동 - 결과에 대한 인지적 예상
④ 자기규제 능력 - 사회화 과정의 내적 통제화
⑤ 자기반영 능력
⑥ 자기효능감
⑦ 자기강화
17. Bronfenbrenner 생태학적 관점
① 미시체계 - 가족 안
② 중간체계 - 학교, 이웃, 또래, 교화 등
③ 외체계 - 부모님의 직업환경 등
④ 거시체계 - 넓은 의미의 사회
→ 청소년 개인에게 부과된 여러 가지 기대나 압력, 요구, 경험 등이 먼저 고려되어야 하며, 또 그에게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가정, 가족, 친구집단,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라는 환경맥락 안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18. Runner의 환경맥락주의
발달에 큰 부분 책임이 있는 사회변인들간의 상호작용체계
- 사춘기 변화는 내부 성숙과정과 환경맥락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저 중재되며 개인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Runner의 적합도 - 적합도에 따라서 발달과 적응이 강화되기도 하고 성장과 안녕감이 저해받기도 한다.
19. Ginsberg의 절충이론 - 현실에 맞게 자신의 욕구를 절충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
① 환상적 시기(11세)
② 시험적 시기(11~18세)
③ 현실적 시기(18세 이후)
20. Super의 자아개념 이론 5단계
① 성장기(출생~14)-흥미, 놀이활동을 통해 직업의 의미파악
② 탐구기(15~24세)-자신에게 맞는 직업의 잠정적 선택
③ 확립기(25~44세)-선택한 분야에서 경험 쌓고 발전해 감
④ 유지기(45~64세)-직업분야에서 정착하고 높은 지위 획득
⑤ 쇠퇴기(65세이후)-은퇴 후, 새로운 역할이나 활동의 추구
21. Holland의 성격유형 이론
- 개인의 행동이 인성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비롯. 따라서, 직업 선택시 인성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성공확률 높다.
① 현실적(Realistic) 유형
② 탐구적(Investigative) 유형
③ 사회적(Social) 유형
④ 예술적(Artistic) 유형
⑤ 관습적(Conventional) 유형
⑥ 기업가적(Enterprising) 유형
22. 성장폭발 - 여자(10~11세 전후), 남자(12~13세 전후)
23.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에 따른 심리적 반응
① 고립의 욕구가 증대된다.
② 정서성이 증대된다.
③ 지나치게 수줍어한다.
④ 불안감이 증대된다.
24. 청소년을 가족체제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할 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요소?
① 부부관계
② 청소년자녀의 행동과 발달
③ 부모의 양육방식
25. 청소년기의 자율성 추구
① 외부활동에 있어서의 자유로움
② 나이에 걸맞은 활동을 할 수 있는 자유
③ 자녀의 판단에 대한 부모의 존중
④ 위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활동
26. 부모로부터의 청소년 자녀의 분리과정(Sullivan)
① 기능적인 독립성 ② 태도적 독립성
③ 감정적인 독립성 ④ 갈등적인 독립성
27. 청소년자녀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의 양육방식
① 독재적인 양육방식
② 허용적인 양육방식
③ 권위적인 양육방식
28. 또래집단이 청소년들의 발달과정에서 지니는 의미, 기능
① 연대감 ② 자신감 ③ 인기
29. 청소년 또래집단의 형태
① 군집(15~30명)-응집성이 끼리 집단만큼 높지 않으며, 조직화된 집단 활동을 이루는데 중심적 역할을 한다. 군집에 소속됨으로 청소년들은 이성과의 접촉을 할 수 있는 기회.
② 배타적인 끼리 집단(3~9명)-청소년이 자기의 일상생활의 형태에 따라 여러 끼리 집단에 소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끼리에 속한 청소년들이 모두 군집에 속할 필요는 없지만, 군집에 속한 청소년들은 모두 끼리 집단에 속하게 된다.
30. 청소년 또래집단의 형성단계
① 전 군집 단계 - 동성의 집단이 독립적으로 구성됨.
② 군집시작 단계 - 동성집단들간의 교류 시작
③ 군집의 조직에 구조적 변화-이성의 또래들로 구성된 끼리 집단이 형성되기 시작함.
④ 완숙된 군집-동성,이성으로 구성된 집단들간의 긴밀함
⑤ 군집의 해체-이성간의 커플로 끼리 집단이 형성되어 군집의 결속력 약화
31. 또래집단들에게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행동패턴을 따르는 행위 - 동조현상의 원인?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동조적 행동을 성인들과 구분되는 자신들의 독립성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해한다는 것.
32. 청소년들의 친구관계 기능
① 교제 ② 자극 ③ 물리적인 지원
④ 자아지지 ⑤ 사회적 비교준거 ⑥ 친밀감/정서적 유대감
33. 청소년기의 친구관계를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특징 - 친밀성과 유사성
34. 청소년기의 데이트의 다양한 기능
① 유희 ② 자신의 지위를 인정받게 됨 ③ 학습의 과정
④ 친밀감 형성 ⑤ 성에 관한 실습, 탐색 ⑥ 교제의 기회
⑦ 정체감 형성 ⑧ 배우자를 선별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
35. 청소년들이 자기자신과 유사성이 높은 상대에게 매력을 느끼는 이유는? 타당화 - 비슷한 사람으로부터, 자기자신의 태도 및 행동이 지지되고 타당화 된다고 느끼기 때문에.
36. 청소년 문화의 특징
① 이상과 꿈을 찾아서
② 공감대의 형성을 찾아서
③ 감성의 폭발을 찾아서
37. 청소년 문화를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관점과 입장의 5가지
① 미숙한 문화 ② 비행 문화 ③ 기존문화의 하위 문화
④ 저항의 문화 ⑤ 새로운 문화
38. 인터넷을 사용함으로써 어떤 욕구가 충족되는가?
① 관계욕구 ② 독립욕구 ③ 자기이해
④ 학습욕구 ⑤ 친밀감욕구
39. 인터넷 중독을 일으키는 취약한 성격의 특성
① 고독 ② 사회불안 ③ 수줍은 ④ 공상 경향성
40. 청소년 내담자가 상담을 시작할 때 상담동기를 낮출 수 있는 세 가지 요인
①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인식의 부족
② 자신의 문제에 대한 비관적인 생각
③ 상담을 보낸 주변 인물과의 관계나 상황에서 기인
41. 상담 과정 중에 청소년 내담자의 변화 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는 세 가지 요인
① 내담자 요인
- 상담과정이 청소년 내담자의 인지적 능력에 적합지 않을때
- 변화를 위해 청소년 내담자에게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부족
- 내담자가 변화의 결과에 대해 부정적인 예견이나 불안가짐
② 상담자 요인
- 상담자가 지나치게 개입하거나 지시적일 때
- 변화 추구의 방법이나 속도가 맞지 않을 때
③ 환경 변인
- 상담에서 목표로 하는 변화와 환경적 변인이 상치될 때
- 내담자 주변의 중요한 인물들이 상담과정에 비협조적일 때
42. 주변인물의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① 청소년과 상담내용에 관한 비밀보장의 원칙과 한계합의
② 부모상담과 부모교육
③ 가족상담
④ 교사 등 기타 조력자들과의 중재자로서의 상담자 역할
43. 상담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요인들 (관계 향상 요인)
① 전문가로 인식될수록
② 호감이 갈수록
③ 신뢰로울수록
44. 청소년 학업능률이 저하되는 학생들의 문제의 원인
① 주의집중의 곤란
② 공부방법이 효율적이지 못함
③ 잘못된 공부습관
④ 지능수준이 저조한 경우
45. 청소년기 학업영역 관련 문제
① 학업부진 ② ADHD
46. 학업부진
① 학습지진-(IQ75~90)
② 학업저성취-아동의 잠재적수준 고려않고 학업성취결과만 봤을 때
③ 학업지체-학업에서의 발달과업을 적절히 성취하지 못하여 규정된 학습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아동
④ 학습장애-내적인 결손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처리과정의 장애로 인해 학습에 부적응을 보임.
⑤ 학습부진-아동의 잠재적인 지적능력 수준에 비해 학업성취가 현저하게 뒤떨어지는 상태
47. ADHD를 가진 아동의 구체적인 특성
① 과잉행동
② 주의집중의 결함
③ 충동성
④ 공격성
⑤ 교우관계에서의 어려움
48. Gilligan의 청소년기 도덕성 이론
① 수준1 : 자기 이익 지향
② 제1이행기 :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
③ 수준2 : 타인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선의 식별
④ 제2이행기 : 동조로부터 새로운 내재적 판단으로
⑤ 수준3: 자신과 타인 간의 역동
49. 우울을 가진 청소년의 비합리적인 사고
① 흑백논리
② 지나친 일반화
③ 부정적인 면만 보는 것
④ 성급한 결론
⑤ 생각의 확대나 축소
⑥ 감정에 치우친 생각
⑦ 낙인 찍기
⑧ 지나친 자책
50. 불안한 청소년들의 특징적 생각
① 닥치지도 않은 위험을 크게 걱정
②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잘 해낼 수 없을거라 생각
③ 주위에서 도와줄 수 없을거라 생각
④ 조그만 것도 크게 걱정하고 최악의 사태만 상상
51. 약물치료가 필요한 불안장애의 종류
① 사회공포증 ② 공황장애 ③ 강박장애 ④ 범불안 장애
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52. 청소년들이 갖는 정조의 네 가지 분류
정조-정서 가운데 가장 분화되고 고등한 감정으로써 지적 활동에 수반되는 조용하고도 고상한 지적 감정이며 가치 감정
① 지적 정조 ② 윤리적 정조 ③ 심미적 정조 ④ 종교적 정조
53. 섭식장애의 종류
① 비만 ② 신경성 식욕부진증 ③ 신경성 폭식증
54. 이성교제로 인한 청소년의 고민
① 자연스런 이성교제 경험의 부족
② 이성교제에서 오는 열등감이나 불안정감
③ 자연스런 이성교제의 사회적 기술 부족
④ 학업성적 및 기타 문제에 대한 고민
55. 이성교제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
① 충동조절 능력의 향상
② 건전한 이성관계의 형성을 위한 조력
③ 공개적이고 건전한 이성관계 유도
56. 청소년기에 따돌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원인
① 유사성에서 벗어난 친구에 대한 거부반응
② 집단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의 경우
③ 나와 남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집단 이기주의 현상
④ 약자를 공격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려는 자기불안 위장
⑤ 입시위주의 교육안에서의 경쟁심 및 그로 인한 적대감
심리측정 및 평가
1. 심리평가란?
심리검사 + 행동관찰 + 면담 + 전문지식
2. 심리검사의 기능
① 예측 ② 분류 ③ 자기이해의 증진 ④ 프로그램의 평가
⑤ 과학적 탐구
3. 심리검사의 몇 가지 주요 특성
① 개인의 대표적인 행동표본 측정
② 행동표본을 표준화된 방식에 따라 측정 한다.
③ 체계적 과정에 걸쳐 이루어져야 한다.
④ 개인 간 비교와 개인 내 비교를 가능하게 해 준다
⑤ 심리적 측정이라는 점이다.
4. 심리검사의 목적
① 임상적 진단의 명료화와 세분화
② 증상과 문제의 심각도를 구체화
③ 피검자의 자아강도를 평가
④ 인지적 기능을 측정
⑤ 적절한 치료유형을 제시
⑥ 치료전략을 세움
⑦ 피검자를 치료적 관계로 유도
⑧ 치료적 반응 검토하고 치료효과 평가
⑨ 개인의 정신역동적 진단의 명료화
5. 심리검사의 요건
① 검사의 신뢰도-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가
② 검사의 타당도-무엇을 측정하고 있는가
③ 객관도-채점이 객관적인가
④ 실용도
⑤ 표준화
⑥ 규준
⑦ 검사자의 자격과 책임감
⑧ 사생활보호와 비밀 보장
6. 검사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
① 검사-재검사 신뢰도
② 동형검가 신뢰도
③ 반분신뢰도
④ 문항내적 합치도
7. 검사의 타당도
① 내용타당도-측정하려고 하는 내용을 측정하고 있는가
② 준거 타당도-검사가 준거행동의 수행능력을 어느 정도 잘 예언하고 있는가
-예언타당도 : 예견하는데 타당성이 있는가
-공인타당도 : 기존의 검사와 결과를 비교해 보는 타당도
-구인타당도 : 어떤 요인이 변인을 구성하고 있는가
8. 심리검사의 유형
① 인간의 심리적 특성의 측정 영역에 따라(지적,정의적,심리운동적 영역 등)
② 어떤 형태의 행동을 요구하느냐(수검자의 최대능력 검사인가, 대표적 행동 검사 요구인가)
③ 개별검사인가 집단검사인가
④ 지필검사인가 작동적 검사인가
⑤ 검사내용의 구체화 정도(구조화, 반구조화, 비구조화)
9. 심리검사의 시행
① 검사상황의 통제(표준절차에 따라)
② 검사자의 사전준비
③ 라포 형성
④ 검사실시 환경에 대한 통제
⑤ 보기, 연습 문제가 제시되어있는 경우 풀 수 있는 기회
10. 심리검사의 활용에 있어서 윤리적인 문제
① 검사자의 전문적 측면에서 기본적 소양 갖추어야 함.
② 도덕적 측면에서 수검자의 권리 보호
③ 검사자의 책임 측면에서, 검사의 이유와 결과 설명
④ 사회적 측면에서 컴퓨터로 대변되는 기술적 측면과 인간적 요소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법 터득
11. 심리검사의 유형
① 투사적 검사-TAT, CAT, SCT, 인물화 검사
-장점 : 반응의 독특성, 방어의 어려움, 반응의 풍부함, 무의식적 내용의 반응
-단점 : 전반적인 신뢰도가 낮게 평가, 객관적으로 입증된 것이 아니라 임상적인 증거를 근거로 함, 여러 상황적 요인에 강한 영향을 받음
② 객관적 검사-MMPI, MBTI, 진로 및 적성탐색검사, K-WWPSI, K-WISC, K-WAIS, Weshler지능검사
-장점 : 검사의 시행․채점․해석의 간편, 투사적 검사에 비해 신뢰도․타당도 높음, 투사적 검사에 비해 객관성 보장
-단점 : 내용에 따라 방어 일어나기 쉬움, 반응경향성에 따라 결과가 영향을 받음, 특정상황에서의 상호작용 밝혀내기 어려움.
12. 행동평가의 유형
① 자연관찰법 ② 유사관찰법 ③ 자기관찰법 ④ 참여관찰법
13. 행동평가의 기능
① 목표행동의 결정 ② 대안적 행동의 발견
③ 결정요인 발견 ④ 기능적 분석의 발달
⑤ 치료적 전략의 고안 ⑥ 치료적 개입의 평가
14.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교환되는 의사소통을 통하여 면담자와 내담자간에 정보와 아이디어, 태도, 감정, 메시지를 교환하는 과정? 면담
15. 면담의 목적과 기능에 따른 분류
① 진단적 면담 ② 치료적 면담
16. 질문할 문항내용을 고정하고 면담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른 분류
① 체계적 면담 ② 비체계적 면담 ③ 반체계적 면담
17. 문제영역별 심리검사의 활용
① 학업문제 - 지능검사, 학습방법 검사 등
② 진로문제 - 진로탐색검사, 적성검사, 진로의식발달검사, 의사결정유형검사, 직업흥믹머사, 가치관검사, 성격검사 등
③ 성격 및 정신건강관련 문제 - MMPI, 지능검사, Rorschach, SCT, 간이정신진단검사, MBTI, TAT, 인물화검사
④ 뇌손상과 관련한 기질적 문제 - 신경심리검사, 지능검사, 성격검사, BGT 등
⑤ 아동문제행동 - CBCL, 사회성숙도검사, 아동용인성검사, 지능검사, 부모자녀관계검사, CAT, 그림좌절검사 등
18. 지능측정의 의의
① 일반적인 지적수준의 평가
② 성격적 장애의 평가
③ 특수능력 및 지적 기능장애의 평가
④ 수검자에 대한 행동관찰
19. KEDI-WISC
① 검사대상 : 만5~15세
② 언어성 동작성 검사를 따로 계산할 수 있다.
언어성검사 |
동작성검사 |
비고 |
1. 상식 3. 공통성 5. 산수 7. 어휘 9. 이해 11.(숫자) |
2.빠진곳 찾기 4. 차례맞추기 6. 토막짜기 8. 모양맞추기 10.기호쓰기 12.(미로) |
번호는 검사실시 순서 괄호안 소검사는 보충검사. 지능지수 산출시에는 보충검사 제외한 10개 소검사만 사용. 진한 글씨는 병전지능 추정 항목 |
20. 웩슬러 지능검사의 양적분석 방식
① 병전지능의 추정(어휘, 기본상식, 토막짜기)
② 현재지능
③ 소검사 점수분산 분석
21. KEDI-WISC의 전체지능 해석
점수 |
분류 |
백분율 |
130이상 |
최우수 |
2.2 |
120~129 |
우수 |
6.7 |
110~119 |
평균상 |
16.1 |
90~109 |
평균 |
5.0 |
80~89 |
평균하 |
16.1 |
70~79 |
경계선 |
6.7 |
69이하 |
정신지체 |
2.2 |
22. 지능지수의 해석
① 비율식 지능지수 IQ=MA/CA×100
② 편차 지능지수 - 각 연령 모두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5인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나타낸다.
23. 지능검사를 활용함에 있어서 검사자가 유념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
① 지능검사 결과에 따라 수검자들을 유목화하는 오류
② 지능지수를 단일수치로 나타내는 현행 방식의 한계
③ 지능지수가 마치 불변하는 능력수치로 생각하는 오류
24. 흥미검사
① 학업에 대한 흥미를 측정하는 검사
② 직업에 대한 흥미를 측정하는 검사
-Strong식: 어떤 직업군의 흥미를 기준으로 해서 어떤 개인의 흥미가 특정 직업군의 흥미와 얼마나 유사한지를 알려준다.
-Kuder식: 여러 가지 활동 가운데 어느 한 가지 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가리켜 줄 뿐이다.
25. 적성이란 개념의 특성
① 미래의 어떤 분야에서의 예언이란 속성이 중요한 지표가 된다.
② 어떤 특정분야나 활동 혹은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과업이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개념이다.
③ 지적 특성 뿐만 아니라, 비지적 특성인 정의적 특성도 포함된다.
26. 적성검사의 의의
① 학업 및 직업 측면의 접근으로서 생산성을 높이고 능률을 올리며 교육성과의 증진을 위한 적소의 발견
② 개인의 적성에 적합한 학업 및 직업을 선택하기 위함
③ 학업이나 진로지도에 있어 중요한 정보 제공
27. 진로 탐색검사-중, 고생용
적성 탐색검사-대학생용
28. 진로 및 적성탐색검사의 구성
① 직업 적성유형 찾기
② 활동-어떤 종류의 일을 하고 싶어하고 싫어하는지...
③ 성격-각 유형의 사람들과 자기 성격과의 일치정도
④ 유능감-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고 어떤 능력이 있는지..
⑤ 직업-여러 가지 직업에 대한 선호도
29. 성격검사의 유형
① 문장완성식 ② 욕구진단식 ③ 자아실현검사 ④ 체크리스트식 ⑤ 투사식 ⑥ 임상에 기초해서 제작 ⑦ 통계적 방법
30. MMPI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① 타당도 척도
-? : 빠뜨린 문항, 답하지 않거나 그렇다, 아니다 모두에 체크
-L : 자신을 좋은 모양으로 나타내 보이려는 부정직한 시도
-F : 검사문항에 대하여 보통과는 다르거나 혹은 비전형적인 방법으로 응답하는 사람들을 탐지하기 위함.
-K : 현저한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상적인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람을 식별하기 위해 겸험적으로 선택된 3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임상척도
-1(Hs):건강염려증, 2(D):우울증, 3(Hy):히스테리 4(Pd):반사회성, 5(Mf):남성성/여성성, 6(Pa):편집증 7(Pt):강박증, 8(Sc) : 정신분열증, 9(Ma) :경조증, Si(내향성)
③ 특수척도
-A(Anxiety) : 일반적인 부적응, 정서적 혼란을 측정함
R(Repression) : 부정과 억제를 사용하는 성향을 반영함.
Es(Ego Strength) : 정신치료 성공 여부를 예측하기 위함.
MCA(Macandrew Addiction) : 남용에 빠지기 쉬운 경향성
31. MMPI의 목적
상담이나 치료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인성특징의 경향, 징후, 비정상성 또는 이상성을 미리 알아서 사전에 방지
32.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검사
4가지 선호경향에 의해 16가지의 성격 유형을 구분하며, 자신이 가지고 태어난 선천적인 경향과 성격적 잠재력을 발견하기 위한 것. 자기 자신이 남과 다르며 남도 나와 다르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이다.
33. Rorschach Test(로샤 검사)의 반응
① Rorschach의 견해 - 검사 자극이 기억 속에 저장된 내용과 반드시 일치한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자각하고 비교적 유사한 내용과 연결시키고자 한다는 것임.
② Beck과 Klopfer의 견해 - 로샤검사가 다면적 인격특성, 다차원적 인격특성을 나타내 준다고 주장함.
③ Exner의 견해 - 로샤 반응과정은 일종의 문제해결과정임.
34. 로샤검사 재료
10개의 대칭으로 된 잉크 블롯 카드(무채색5장, 검정색+붉은색2장, 여러 가지 혼합색3장)
35. 로샤 반응과정에서 투사의 역할
단순한 움직임반응이 아닌 정교한 세부 묘사나 독특한 반응 묘사가 들어간 경우는 투사가 개입되고 있을 확률이 높다.
36. 주제통각검사 TAT의 기본가설
① 사람들은 모호한 상황을 그들의 과거 경험과 현재의 소망에 따라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Murray)
② 경험의 축적과 의식적, 무의식적 감정과 욕구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경향이 있다.(Murray)
37. TAT의 실시방법
TAT 도판 31개 - 성,연령을 고려하여 선정된 20개의 카드를 2회에 걸쳐 실시함. 즉 1회에 10개, 2회에 10개 카드를 실시
38. TAT의 해석방법
① 표준화법 - 반응상의 특징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유사 또는 이질의 피검사자군에서 작성된 표준화 자료에서 비교분석
② 주인공 중심의 해석법
③ 직관적 방법 - 해석자의 통찰적 감정이입 능력에 따름.
④ 대인관계법 - 이야기 속 인물들의 상호관계 중심분석
⑤ 지각법 - 이야기 내용의 형식을 분석하는 것
39. CAT(아동용 회화통각검사) 제작의 배경이론-Bellak
어린이는 사람보다 동물을 더 잘 동일시한다. 동물자극사용 시 검사목적을 더 잘 위장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욕구들을 간접적으로 표현가능하다. 아동의 생각 투사용이
40. 투사적 그림검사(Projective Drawing Test)
① House-Tree-Person (HTP)의 목적
- 주로 다른 검사들의 보조적 도구로 사용
- 두뇌의 기질적 장애 여부 파악
- 지능수준에 대략적인 평가
② Kinetic Family Drawing (KFD)의 목적
- 자기 가족에 대한 지각, 가족원들의 상호작용 바익, 그리고 여러 가족원들에 대한 아동의 정서적 태도 등
41. KFD의 해석
① 정적 특질 차원 - 그림의 고정된 특징들을 살펴봄
② 행위차원 - 사람과 대상간의 움직임의 의미 해석
③ 유형차원 - 그림 내에 구획화나 가장자리에 위치한 인물
④ 상징차원 -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물체에 상징의미 부여
42. Sentence Completion Test (문장완성검사)
43. Bender-Gastalt Test(B-GT)의 검사 목적
① 두뇌의 기질적 장애 여부 펴가위한 신경심리학적 검사
② 아동의 경우, 지각 성숙도에 대한 발달수준 평가
③ 정서적 혼란이나 성격 특성에 대한 평가
④ 아동의 학업성취에 대한 예측이나 대략적인 지능추정
44. B-GT의 실시 방법
① 모사(copy)단계 - 한 장의 용지에 9개의 도형을 하나씩 그대로 옮겨 그리게 함.
② 회상(recall)단계 - 우연한 회상
③ 재모사(recopy)단계 - 모사에서 모호한 경우 재검사실시
④ 정교화(elaboration)단계 - 사고의 확장
45. B-GT의 채점법
① Rotation - 도형의 중심축이 80~180까지 회전돼있을때
② Overlapping Difficulty - 겹치는 부분의 위치에 맞게 그리기가 어려움.
③ Simplification - 단순화하거나 평이하게 처리하는 것
④ Fragmentation - 도형의 전체모양이 파괴돼있거나 불완전한 상태
⑤ Retrogression - 도형보다 더 원시적으로 그리기
⑥ Perseveration - 도형의 모양을 재창출하거나 더 그리기
⑦ Collision or Collision tendency - 다른 도형과 맞닿거나 중첩되기 또는 거의 붙어있는 상태
⑧ Impotence - 그리면서 무능력한 언어적 행동적 표현
⑨ Closure Difficulty - 맞닿는 부분을 색칠하거나 진하게..
⑩ Motor incoordination - 떠는 것과 같이 불규칙적이게
⑪ Angulation Difficulty - 도형의 각들이 변형돼있을 때
⑫ Cohesion - 도형의 크기가 제각각 변형돼있을 때
상담 이론
1. 상담이란?
내담자의 자기성장을 궁극 목적으로 하여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조력관계의 과정
2. 상담자의 태도
① 공감 ②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③ 진실성
3. 정신분석적 상담에서의 치료 목표
무의식을 의식화 하여, 자아를 보다 강화시키는 것
4. 정신분석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전이관계-정신분석적 접근의 핵심
5. 내담자가 과거의 중요 타인에게서 느꼈던 긍정적, 부정적 감정이나 환상 - 전이
6. 정신분석에서의 여섯 가지 기본적 기법
① 절차적이고 형식적인 요인들의 유지(장소/시간/상담료 등)
② 자유연상
③ 해석
④ 꿈의 분석
⑤ 저항의 분석과 해석
⑥ 전이의 분석과 해석
7. 아들러의 개인심리치료의 주요 개념
① 인간은 사회적 동기에 의해 동기화되며, 목표지향적 행동
② 현실에 대한 주관적 지각 - 현상학적
③ 통일성과 인간의 성격유형 - 성격은 통합적, 전체적인 것
- 인간은 목적적이고 행동지향적인 특성을 갖는다.
- 중요성과 우월성을 위한 추구이다.
- 생활양식
- 허구적인 결말주의
④ 사회적 관심
⑤ 출생순위와 형제관계
8. 아들러 심리치료의 지료 목표
-내담자의 사회적 관심, 즉 잘못된 사회적 가치를 바꾸는 것.
-행동수정보다 동기수정에 보다 관심을 갖는다. 즉, 생의 목표나 기본 개념들에 도전하려고 함.
9. 아들러 심리치료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행동, 상호신뢰, 존경에 기초된 동등한 관계
10. 아들러 심리치료의 치료기법과 절차
① 국면1 : 관계의 형성
② 국면2 : 개인의 역동성의 탐색
- 가족 내에서의 개인의 위치
- 아동기의 회상
- 꿈
- 우선적 욕구(우월성, 통제, 편안함, 즐거움)
- 통합과 요약
- 격려의 과정
③ 국면3 : 통찰의 격려
④ 국면4 : 재교육을 통한 행동화의 도움
- 즉시성 상담시간 중에 일어나는 것이 일상생활에서 생기는 것의 표본이라는 사실을 내담자가 깨닫도록 한다.
- 역설적 의도
-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
- 끓는 국에 찬물 끼엊기
- 자기 간파
- 버튼 누르기
- 악동의 함정 피하기
- 과제 설정과 열중
11. 실존 치료 (Victor Frankl)
정신분석이나 행동주의에 대한 반발로 생김.
우리의 선택과 행위에 책임이 있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어떤 상황에서든지 자신의 태도를 선택하고, 자신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인간의 본질은 의미나 목적을 찾는 데 있다고 믿는다.
12. 실존적 접근에 따른, 인간 조건의 기본적 차원?
① 자기 인식의 능력
② 자유와 책임 능력
③ 자신의 정체가 확립과 타인과의 의미있는 관계 수립
④ 의미, 목적, 가치, 목표 등의 추구
⑤ 삶의 조건인 불안
⑤ 죽음이나 비존재에 대한 인식 등
13. 실존치료의 목표
개인들이 행위에 대한 아주 많은 자유와 아주 많은 책임능력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새로운 자유는 불안을 초래하기에, 성장하려면 자유에 대한 공포를 직면해야 한다.
가치 있는 존재를 창출하려는 진실한 목적에 기초하는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14. 실존치료에서의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개인이 새로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내담자의 주관적 세계를 이해하는 데 주로 관심을 쏟는다. 내담자의 현재 상황에 초점을 두고 내담자에 따라 다양한 기법 사용.
내담자들이 제한된 실존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직면하도록 하고, 스스로의 역할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
15. 실존치료에서의 내담자의 경험
① 자신의 세계에서 자신의 주관적인 경험을 진지하게 생각하도록 내담자들을 분명히 격려함으로써, 자신의 어떤 미래를 ‘지금’ 선택하느냐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
② 즉각적인 문제 처리보다는 궁극적인 관심에 직명함.
16. 실존치료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상담관계의 핵심은 존중.
17. 실존치료에서의 치료기법 절차
① 자기인식의 능력 ② 자유와 책임
③ 정체감과 대인관계의 추구 ④ 의미의 추구
⑤ 삶의 조건인 불안 ⑥ 죽음과 비존재의 인식
18. 인간중심 치료 (Carl Rogers)의 목표
개인의 독립과 통합을 목표로 삼는다. 인간에 초점.
“완전히 기능하는 인간‘이 되도록 하는 풍토를 제공하는 것.
19. Rogers가 말한 점차 실현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① 경험에의 개방 ② 자신에 대한 신뢰
③ 내적 평가 ④ 계속되는 성장에의 의지
20. 인간중심접근 상담에서의 내담자의 경험
내담자의 자기개념과 이상적 자기개념과의 불일치에서부터 상담을 시작하게 된다. 내담자가 이해받고, 수용 받고 있음을 느낌에 따라 그들의 방어는 점차 필요 없게 되며, 자신의 경험에 더 개방적으로 되어, 자신을 더 잘 수용하고 통합한다.
21. 인간중심접근 상담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① 일치, 진솔성
②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과 수용
③ 정확한 공감적 이해
22. 형태치료 (Fritz perls)란?
사람들이 성숙하기 위해서는 생활에서 자신의 방식을 발견해야 하며, 개인적 책임능력을 받아들여야만 한다는 전체에 기초한 실존치료의 한 부류.
인간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현재 어떻게 행동하는가 하는 것이 자기 이해에 더 중요하다고 함.
23. 형태치료의 중요개념
① 인간관 - 개인의 삶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스스로 처리할 수 있으며 주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할 수 있을 대 더욱 가능하다고 함.
② 현재 - 지금 여기의 강조-무엇을, 어떻게 라는 질문 사용
③ 미결 - 미결감정을 풀어야 진정한 만족을 경험할 수 있다
④ 회피 - 사람들이 자신의 미결 감정에 직면해서 미결감정과 연합된 불편한 정서를 경험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
⑤ 신경증의 층 - 가짜, 공포, 한의 장벽, 내파, 외파층-5층
⑥ 접촉과 접촉에 대한 저항
⑦ 에너지와 에너지 차단 - 에너지가 어디 있는지, 에너지가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어떻게 차단될 수 있는지에 대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며, 차단된 에너지는 또다른 형태의 저항.
내담자가 에너지를 차단하고 있는 방식을 알도록 그리고 이 차단된 에너지를 좀더 적응적인 행동으로 전환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상담자의 역할
24. 형태치료에서의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각을 충분히 사용하고 신체언어와 접촉할 수 있도록 내담자를 독려하는 것이며, 내담자가 외부 지지에서 내부 지지로 변화하도록 돕는 것이며 한의 장벽을 밝혀내야 가능한 것이다.
25. 형태치료기법과 절차
미결감정을 해결하지 못하게 막는 ‘한의 장벽’을 극복하도록
① 빈의자 기법 ② 한바퀴 돌기
③ ~에 대한 책임이 내게 있습니다. ④ 투사놀이
⑤ 반동 기법 ⑥ 시연연습 ⑦ 과장연습 ⑧ 감정의 지속
⑨ 꿈 작업에 대한 형태치료의 접근
26. Transactional Analysis (의사교류 분석) - Eric Berne
계약을 하고 결정을 한다. 치료목표와 치료방향을 분명히 기술한, 계약을 하며 이 계약은 내담자가 제안한다.
사고, 감정, 성격의 행동적 측면을 강조하며, 내담자가 새로운 결정을 하여 삶의 과정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더 많은 인식을 할 수 있는 쪽으로 방향이 결정된다. 무엇을 변화시킬 지를 결정하는 것은 내담자의 책임이다. (인지적 접근)
27. TA의 접근 3가지 자아상태
① 부모자아(P) - 부모가 느낄 것이라고 상상했던 감정을 재 경험한다.
② 성인자아(A) - 자료를 처리한다. 정서적인 것도 아니고 판단적인 것도 아닌 사실이나 외적 현실들을 다룬다.
③ 아동자아(C) - 충동적이며, 미숙하고, 자발적이고 표현적인 유아와 같은 측면이다.
28. TA의 인간관
습관을 초월하고 새로운 목표나 행동을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의 능력을 믿는다. 기본적으로 사람들은 선택, 새로운 결정, 행동을 할 능력이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TA의 치료에서는 변명이나 핑계는 인정되지 않는다.
29. TA의 치료목표
내담자가 자신의 현재 행동과 생활의 방향에 따라 새로운 결정을 하도록 돕는 것. 치료의 핵심은 계약을 통한 변화이다.
30. TA의 치료기법과 절차
TA의 틀 내에서 자신의 ‘재결정 치료’를 하지만, 그들의 치료 방법은 TA, 형태치료, 상호작용적 집단치료, 행동수정, 가족치료, 심리극, 둔감법을 혼합한 것이다.
① 구조 분석 ② 교류분석 ③ 가족모형
④의식이나 오락의 분석 ⑤ 게임과 특유 감정의 분석
⑥ 각본 분석은 생활각본
31. TA에서 성격구조와 관련된 2가지 문제
① 오염 - 자아 상태의 내용이 다른 자아 상태의 내용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
② 배척 - 경직된 자아상태의 경계들이 자아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32. 교류의 세 가지 유형
① 상호보완적 - 특정 자아 상태가 보낸 메시지가 다른 사람의 특정 자아 상태로부터 예상한 반응이 나올 때
② 교차적 - 예상치 못했던 반응이 나올 때
③ 암시적- 실제의미를 숨긴 위장된 메시지가 교환될 때
33. 행동치료
인간이 환경을 만들기도 하고 동시에 환경에 의해 만들어짐.
34. 행동치료의 목표의 기능
목표- 학습의 새로운 조건을 창출하는 것.
① 구체적 내담자의 관심영역 반영하고 상담의 방향 제시
② 구체적 상담전략이나 개입을 선택하고 결정하도록 해줌.
③ 목표는 결과 평가의 준거가 된다.
35. 행동치료 기법과 절차
① 이완훈련 ② 체계적 둔감법 ③ 모방 ④ 자기표현훈련
⑤ 자기조정 프로그램과 자기 지시적 행동 ⑥ 중다양식치료
36. 합리적 정서 치료와 인지적 행동치료 (Albert Ellis)의 성격의 A-B-C 이론
A - 사실, 사건, 혹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태도 등
B - 신념
C - 사람의 정서적, 행동적 결과 혹은 반응
D - 논박하는 중재
E - 효과
F - 새로운 감정
37. RET의 치료목표
내담자의 중요한 자기 패배적 견해의 극소화와 더 실제적이고 관대한 인생철학을 습득하는 것
38. RET의 치료 과정
① 내담자에게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신념 보여주기
② 내담자가 인식의 단계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도록 하는 것
③ 내담자의 사고를 수정하고, 비합리적인 생각 포기하도록
④ 인생의 합리적 철학을 발견시키도록 내담자를 격려
39. Beck의 인지치료의 원리
역기능적인 정서와 행동을 변화시키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부정확하고 역기능적인 사고를 수정하는 것이다.
40. Beck의 인지치료에서의 왜곡된 역기능적 인지
① 임의적 추론 ② 선택적 추론 ③ 과잉일반화
④ 확대화와 과장 ⑤ 개인화 ⑥ 이분법적 사고
41. 현실치료 (William Glasser)
행동을 선택하고 우리의 활동뿐만 아니라 우리의 사고나 감정에 대해서도 우리에게 책임이 있다는 기본 개념
42. 현실치료의 특징
① 의학적 모형의 거부 ② 긍정적 정체감과 긍정적 중독
③ 책임능력의 강조 ④ 전이의 경시
43. 현실치료에서의 선택이론 - 자신이 삶에 성취감을 가져오고 또한 자신의 삶을 통제하는 긍정적인 개념
44. 현실치료 - 현실세계와 인식되는 세계
인간이 경험하는 현실세계는 감각체계와 지식여과기와 가치여과기로 구성된 지각체계를 거치면서 특별한 사진기로 찍혀서 지각세계에 전달된다. 이 때에 지각현실은 긍정적으로, 부정적으로 혹은 무의미하게 인식한다. 그렇게 분류한 것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 모두가 실현되기를 바라며, 개인에게 맞는 최상의 사진으로 질적인 세계에 늘 간직한다. 그 안에 있는 사진들이 현실과 일치하느냐 불일치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만족도도 정해지는 것이다.
45. 현실치료에서의 전행동
① 활동하기 ② 생각하기 ③ 느끼기 ④ 신체현상 →행동
↑ 통제력 가짐
46. 현실치료 - 인간의 다섯 가지 기본 욕구
① 소속욕구 ② 힘에 대한 욕구 ③ 자유에 대한 욕구
④ 즐거움에 대한 욕구 ⑤ 생존에 대한 욕구
47. 현실치료에서 행동변화를 위한 상담과정
① 욕구, 바램, 지각 탐색하기(Want)
② 전행동 탐색하기(Doing)
③ 행동과 계획에 대한 자기 평가하기(Self-Evaluation)
④ 긍정적인 계획하기(Plan)
48. 현실치료에서의 상담자 태도
① 주의를 기울이는 행동하기
② AB 법칙을 실시하기
침착,예의,신념,열성,확고,진실,유머,진실,요약,초점,윤리
49. 현실치료의 적용
개인상담, 부부 및 가족상담, 집단상담, 사회복지, 교육 위기 중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단기치료이다. 학교, 교정기관, 일반병원, 위탁가정, 약물남용치료센터에서 인기 있음.
발달심리학
1. 발달의 의미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해 일어나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
2. 발달에 관한 학설
① 생득설 - 유전론. 멘델, 게젤
② 경험설 - 환경론. 로크의 백지설. 와트슨
③ 폭주설 - 생득론과 환경론의 대립된 논쟁의 결과를 인정, 통합 시도
④ 체제설 - 내부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이 고차적으로 작용하여 하나의 새로운 체계를 이루는 역동적 과정. 레빈 공식 B=f(O×E)
3. 발달기제
① 적기성 (각 단계에 맞는 과업)
② 기초성 (유아기의 경험이 중요)
③ 누적성 (앞 단계에서 잘못되면 다음단계에 더욱 잘못됨)
④ 불가역성 (후 단계에서 전 단계 교정 보충 못함)
4. 발달심리학의 연구방법
① 상관연구 ② 실험연구 ③ 사례연구
5. 자료수집방법
① 자기보고법 ② 직접관찰법
6. 연구설계
① 횡단적 설계 ② 종단적 설계 ③ 횡단적-단기종단적 설계 ④ 발생과정 분석설계
7.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가 3개일 때
8. 터너증후군은?
성염색체-여성염색체가 XX인데, XO로 X염색체 1개만 가짐.
9. 클라인휄터 증후군은?
정상적인남성 염색체XY에서 X염색체가 하나 더 있음.
10. 태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모의 영양상태 ② 모의 질병 ③ 모의 정서상태 ④ 모의 연령 ⑤ 약물 ⑥ 환경 공해
11. 영아기 신체 및 운동기능의 발달 원리
① 머리쪽에서 아래쪽으로 ② 중심부에서 말초부로
12.영아의 반사기능
① 생존반사-호흡반사,눈깜빡이기반사,빨기반사,삼키기반사등
② 원시반사-바빈스키반사,모로반사,잡기반사
13. 영아기 지각연구 실험은?
Fantz의 지각적 선호성 실험(습관화와 탈습관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짐)
14. 영아의 깊이지각 실험은?
Gibson과 Walk의 시각벼랑 실험
15.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 또는 인지구조 속에 외계의 대상들을 받아들이는 인지과정은? 동화
16. 자신이 가진 기존의 도식이나 구조가 새로운 대상을 동화하는 데 적합하지 않을 때 새로운 대상에 맞게 이미 있는 도식이나 구조를 바꾸어가는 인지적 과정은? 조절
17. 동화와 조절의 두 기능의 통합과정? 평형화
18.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① 감각운동기(0~2세) - 대상영속성 개념 획득
② 전조작기(2~6세) - 표상형성, 자기중심성, 비가역성
③ 구체적조작기(6~12세) - 가역조작, 논리적 문제해결
④ 형식적조작기(12~성인) - 추론능력, 논리적통합
19. 우리 자신을 포함하는 모든 대상들이 독립적인 실체로서 존재하며, 대상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였을 때, 시야에서 그 대상이 사라지더라도 다른 장소에 계속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며, 감각운동기 때 발달?
대상영속성
20. 타인의 생각, 감정, 지각, 관점 등이 자신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는 전조작기 사고의 특징을 의미하는 것은?
자기중심성
21. 아동의 시각조망의 자기중심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은?
Piaget의 세산 모형실험
22. 아동이 보존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왜일까?
가역성이라는 논리적 조작을 획득하지 못했기 때문.
23. 우연히 존재하게 된 현상의 원인을 찾아내려는 전조작기 아동의 인과적 사고를 뜻하는 것은?
목적론
24. 모든 존재하는 현상이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믿는 전조작기 인과적 사고를 의미하는 것은?
인공론
25. 두 개의 사태가 동시에 일어났을 때, 한 사태가 동시에 일어났을 때, 한 사태가 다른 사태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함으로써 하나의 특정 사태로부터 다른 특정 사태를 추론하는 전조작기 인과추론의 특징적인 양상을 뜻하는 것은?
전화적 추론
26. 정신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이 미분화된 상태로 존재하여 정신적인 현상에 물리적인 속성을 부여하는 전조작기 아동 특유의 현상개념은?
실재론
27. Spearman의 양요인설은?
지능의 일반적인 능력을 일반요인,
개인 특유의 특수능력을 특수요인
28. 인간의 지능은 서로 독립적인 일곱 개의 능력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밝혀낸 사람?
Thurstone의 기초 정신능력 - 언어이해, 언어유창, 수리, 공간지각, 기억, 추론, 지각 속도
29. 내용(5개), 조작(6), 산출(6)의 세 차원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상호 결합하여 얻어지는 180개의 상이한 정신능력으로 지능이 구성된다고 말한 사람?
Giulford - 지능의 구조모형
30. Cattell과 Horn의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이란?
① 유동성지능-학습된 능력이 아니면서 비교적 모든 문화권에 보편적인 문제해결능력으로 언어적 유추능력, 단순암기능력, 추상적도형간 관계이해능력 포함한다 - 유전적 지능
② 결정성지능-학교학습이나 경험을 통해 획득된 능력으로서 어휘이해력, 수리력, 일반적 지식을 의미한다 - 후천적 지능
31. Terman의 지능지수 개념
IQ = MA/CA × 100
32. Sternberg의 지능의 삼원이론이란?
아동의 지능이 분석적 능력, 경험적 능력 및 맥락적 능력으로 구성된다는 것.
33. Gardner의 다면적 지능이론이란?
지능이 높은 아동은 모든 영역에서 우수하다는 종래의 획일주의적인 지능관 비판, 인간의 지적 능력이 서로 독립적이며 상이한 여러 유형의 능력으로 구성된다는 것.(언어적, 논리수학적, 공간적, 신체운동적, 음악적, 개인간, 개인내 지능)
34. 기억과정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기명 과정 → 저장 → 인출
35.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의 방법?
되풀이해서 암송하는 언어적 시연이 필요하다.
36. 인출되는 과정?
① 재인 - 인출단서가 주어질 때 정보가 인출되어짐.
② 재생(회상) - 단서가 없이 기억을 재구성하는 과정
37. 한 개인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해서 느끼는 강한 감정적 유대관계를 뜻하는 것은?
애착(Bowlby, Ainsworth)
38. 애착발달의 주요인이 수요욕구의 충족이 아니라 접촉위안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실험은?
Harlow의 대리모 실험
39. 영아가 애착대상인 어머니에게서 떨어질 때 나타내는 불안반응으로서, 어머니로부터 떨어지는 경험이 늘어날수록 더욱 강해지는 특징은?
격리불안 또는 분리불안
40. 실험실에서 아기와 어머니가 상호작용하는 양상을 관찰한 실험?
Ainsworth의 낯선상황 실험
① 안정애착 ② 불안정 회피 ③ 불안정 저항 ④ 불안정 혼돈
41.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① 구순기 (출생~18개월)
② 항문기 (18개월~3세)
③ 남근기 (3~6세)
④ 잠재기 (6~12세)
⑤ 성기기 (12세 이후)
4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① 신뢰성 대 불신감 (구순기)
② 자율성 대 수치감 (항문기)
③ 주도성 대 죄의식 (남근기)
④ 근면성 대 열등감 (잠재기)
⑤ 자아정체감 확립 대 자아정체감 혼미 (청소년기)
⑥ 친근감 대 고립감 (성인초기)
⑦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중기)
⑧ 자아통합 대 자아절망감 (노년기)
43.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이론
①id(본능)-쾌락원칙에 지배를 받고 고통을 회피
②ego(자아)-행동을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도록 통제하는 성격의 일부분
③superego(초자아)-이상이나 도덕의 원리에 의해서 지배됨
④리비도(Libido) : 성충동 에너지- 발달단계를 구분하는 기준이 됨
⑤Mortido-공격 충동의 에너지, 죽음의 본능으로서의 에너지
44.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① 인습이전 수준
단계 1 - 처벌과 복종
단계 2 - 도구적 상대주의
② 인습 수준
단계 3 - 대인간 조화 또는 착한 소년/소녀
단계 4 - 법과 질서
③ 인습이후 수준
단계 5 - 사회적 계약과 합법성
단계 6 - 보편적인 윤리적 원리
45. Anna Freud의 청년기 방어이론?
① 금욕주의 - 신체와 관련되는 모든 것에 대해 거부, 혐오, 분노를 나타내는 청년기 특성
② 주지화 - 성저 갈등을 이와는 정반대인 지적 활동 속에서 찾고자 하는 자아의 방어양식
46. 청년기 특유의 사회인지적 특성인 자아중심성에 대하여?
① 개인적 우화 - 자신은 특별하고 독특한 존재로,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세계는 다른 사람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② 상상적 청중 - 청년기 과장된 자의식으로 인해 자신이 타인의 집중적인 관심과 주의의 대상이 도고 있다고 믿음.
47. Marcia의 정체성 지위이론
정체성탐색 , 주어진 과업에 관여
① 정체성 성취 - ○ ○
② 정체성 유실 - × ○
③ 정체성 유예 - ○ ×
④ 정체성 혼미 - × ×
48. Schaie의 성인기 인지발달단계 모형
① 획득단계 (아동,청년기)
② 성취단계 (성인전기)
③ 책임단계 (성인중기)
④ 실행단계 (성인중기 일부)
⑤ 재통합단계 (성인후기)
49. Holland의 직업적 성격유형
① 현실적 유형(Realistic)-농사, 운전, 건설, 엔지니어 등
② 탐구적 유형(Investigative) - 과학, 전문직종 등
③ 예술적 유형(Artistic)
④ 사회적 유형(Social) - 교직, 사회사업, 상담 등
⑤ 기업가적 유형(Enterprising) - 경영, 경찰, 외판 등
⑥ 관습적 유형(Conventional) - 은행원, 비서, 서기 등
50. 죽음의 과정
① 부정
② 분노
③ 타협
④ 우울
⑤ 수용
51. 청소년 문제 행동
① 학교중퇴 ② 음주와 흡연 ③ 약물남용 ④ 혼전성교 및 임신 ⑤ 자살 ⑥ 비만과 거식증
52. 청소년 자살 원인 - 높은 학업 스트레스(학업문제)
53. 브루너의 표현체계에 의한 인지발달 이론
어떤 내용도 어떤 아동에게도(인지구조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
발달 단계 : 동작적-영상적-상징적
54. 헤비거스트의 발달과업 이론
개인의 생리적 심리적 조건, 사회 규범과 기대, 개인의 철학적 이상과 이상, 포부, 가치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징- 특정한 시기에 기대되는 과업이며, 질서와 계열성, 결정적 시기를 가진다.
그 시기의 적응도를 결정한다. 소년기 청년기,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
다음 발달단계의 행동발달에 영향을 준다.
시사점- 교육목표 설정에 도움을 준다. 학습 준비도 결정에 도움을 준다.(어떤 학습과제를 가장 잘 가르칠 수 있는 시기)
'♣ Study 자료 > 교육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건강교육 강사과정 수강생 모집 (0) | 2014.07.22 |
---|---|
재능대학교 미술심리상담사 관련 안내 (0) | 2014.04.14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총정리 및 기출문제 (0) | 2008.01.28 |
2008년 청소년상담사 국가 자격시험 안내 (0) | 2008.01.22 |
시를 잘 쓰기 위한 10가지 방법 (0) | 2007.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