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가족화 동물상징 해석
동물가족화 동물상징 해석
새, 닭 : 현실적 도피, 안주 부엉이 : 지혜
독수리 : 용맹, 관조할 줄 아는 돼지, 나무늘보 : 게으름, 느낌
다람쥐 : 약함 생쥐 : 지혜로움, 약함
거북, 개구리, 물고기 : 우울증적 악어, 박쥐 : 양면성
망아지 : 미숙, 게으름 강아지 : 애교스러움
곰 : 양육적, 게으름 뱀 : 지혜, 탄생, 새로운 시작과 마감
코끼리 : 이지적, 장수 원숭이 : 잔머리, 지혜
비둘기 : 안정, 평화 오리 : 근원적
용, 봉황 : 신비로움 하마 : 공격성, 말로 상처를 줌
사자 : 용맹, 공격적, 양육적 말 : 역동적
고양이 : 양가감정, 애교스러움 양 : 희생, 순함
캥거루 : 양육적 기린 : 섬세함, 멀리 봄
늑대 : 의리, 동료 독려, 집단적 토끼 : 순함, 보호적
여우 : 귀여움, 애교, 지혜 사슴 : 지혜, 안정, 멀리 내다 봄
호랑이, 공룡 : 위압적, 공격적
소 : 부지런함, 근면, 성실, 학생일 경우 등교거부 및 공부하기 싫을 때
<동물 가족화에 표현된 본인과 가족 관계의 분류>
1. 고립형 - (본인)작고, 마지막으로 자기를 그리며 다른 가족과 떨어져 있고,
동물의 종류가 다르고, 다른 쪽을 바라보고 있고 표정이 다름.
고립, 위축, 약자, 이질
2. 병렬형 - 가족 전체를 쭉 나열하여 그리고 비슷한 크기, 모습, 형태로 그림
- 개개의 특성이 불명확, 감정억압과 미분화
* 감정의 미분화 시 가족과 분리되더라도 새로운 가족과 문제를 가져올 수 있음
(자신의 감정표현을 억제 당함)
3. 지배적 - (본인)상부에 그리고 위에서 내려다보고, 날아다니고 있음(새 등)
강한 동물, 손톱, 부리, 이빨 등의 공격성이 표현
지배(내가 지배하고자 함), 고립감, 공격성
4. 자기 중심형 - (본인)크게 그리고 제일 먼저 그리고, 한 가운데에 그리며,
양친 사이(부부 사이에 자식이 가로 막고 있음)에 그리고, 포유류 가족
- 자기중심, 보호, 주목, 일체감
5. 부모 지배형 - (부모)크며, 위에 위치하고, 누르고 있으며, 포악하고 강한 동물, 손톱, 부리,
이빨 등의 공격성의 표현
(단, 부모가 약한 동물로 위에 있을 땐 해당하지 않음.)
- 절대 힘의 지배, 부모의 위압, 협박, 본인의 위축
6. 기타 - 어느 정도의 표현은 되어 있지만, 위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7. 거부형 - 묘화를 중단(그리는 것을 힘들어 할 경우 그림 붙이기를 시킨다.)
- 감정표현 거부, 가족 이미지를 미성립
* 물과 관련된 것은 다 우울한 것을 뜻 함.
* 가족을 상징하는 동물들이 바라보는 방향과 간격으로 가족 간의 관계를 알아봄.
* 집에서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거나 무서운 존재로 느끼는 대상은 호랑이나 사자, 공룡 등으로 나타남.
반대로 따뜻하고 너그럽게 느끼는 대상은 양이나 사슴, 곰 등으로 나타남.
* 가족 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거나 의미 있는 대상은 가장 큰 동물로 나타남.
* 다른 가족 동물에 비해 본인을 작게 마지막에 그리거나 동물의 종류가 혼자만 다를 경우에는 가족
사이에서 고립감이나 위축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음.
* 본인을 화면 위쪽에 그리고 강한 동물이나 손톱, 부리, 이빨 등을 강조해서 표현하면 공격적인
성향이 있음.
* 부모를 상징하는 동물이 크고 포악한 동물이나 손톱, 부리, 이빨 등이 있는 것은 부모가
위압적이어서 아이가 위축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음.
* 자신을 엄마와 아빠 사이에 그리는 것은 부모로부터 보호 받거나 주목받고 싶은 마음.
<진행과 질문법>
1. 동물 그림을 나누어 준다.
2. 식구들의 이미지와 유사한 동물을 오려 붙인다.
3. 예) 호랑이를 아빠로 붙였다. / 이유를 물어본다.
4. 누구와 친하고 / 누구와 갈등관계인지 / 그 원인은 무엇인지 / 누구와 적대관계인지 질문
5. 기타 여러 가지 내용들을 질문하여 본다.
6. 특별히 부모와 본인과의 관계를 질문한다.
7. 입대 전 / 입대 후 / 그리고 지금의 상황 등등 상담자가 알고 싶은 내용에 대해서
순화된 언어로 적절히 질문한다. 감정을 읽어주는 것 반드시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