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타운
![]() |
<사진=CGV아트하우스> |
- 2015.04.29 개봉
- 감독 한준희 /출연 김혜수(엄마), 김고은(일영), 엄태구(우곤)
지하철 보관함 10번에 칸에 버려진 아이(김고은)는 한 거지에게 발견되고
그 이후 ‘10’을 문자 그대로 읽어 이름이 ‘일영’이라 불린다.
일영은 어느 날, 부패한 경찰에게 이끌려 쓸모 있는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차이나타운의 대모(김혜수)를 만난다. 부모도 없고 출생신고도 안되어 있는 어린 아이들을 데리고 와 쓸모 있는 아이들만 자신의 식구로 키우며
차이나타운을 지배하는 마우희, 그녀는 사람들에게 ‘엄마’로 불린다.
오직 쓸모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사람을 판단하고 돈을 빌려주고 사람의 목숨을 사는 이 여자에게
‘엄마’라는 호칭은 참으로 묘하다.
그녀가 언제부터 ‘엄마’로 불렸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그녀에게도 그녀가 ‘엄마’로 불렀던 존재가 있었다는 것과 그 엄마를 자신이 죽였으며,
언젠가 그녀도 그렇게 죽임을 당할것이라는 묘한 암시가 이 영화의 후반부에 드러난다.
일영은 그런 엄마에게 인정받기 위해, 유일하게 자신을 받아준 엄마에게 일영은 혼신의 힘을 다해 충성하지만,
석현을 만나면서 그녀의 세계가 흔들리기 시작한다.
단 한번도 경험한 적 없는 따뜻하고 친절한 세상이 있다는 것을 그를 만나기 전엔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 일영의 마음을 안 것인지 엄마는 일영을 시험하고 결국 두 사람은 극한의 대결을 펼치게 된다.
일영은 엄마에게 자신이 아직도 쓸모 있음을 증명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세상으로 떠나기 위해 엄마(기존의 세계)를 버릴 것인가?
이름만으로도 아름답고 섹시한 여배우 김혜수는 민망할 정도로 적나라한 민낯을 내보였고
이는 처음엔 낯설게 느껴졌다. 시종일관 무표정한 표정과 대사에서 암울함, 무기력함, 슬픔과 분노가 드러났다.
처음에 이 영화가 극도로 무기력하고 우울한 우리들의 내면을 드러낸 것이라고 생각했다.
무기력과 우울함 뒤에 가려져 있었던 극도의 분노는 어디로도 해소할 수 없고
탈출구 없는 우리들의 삶의 어두운 측면을 보여준다.
이 분노는 결국은 아무런 죄도 없고 자신과 아무런 관계도 없는 대상에게로 표출된다.
분노는 어딘가에 누군가에게는 표출되야 하기 때문이다.
우울한 사람들은 그저 무기력하고 슬픔에만 빠져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우울감이면에는 ‘분노’가 도사리고 있다. 극한의 분노는 때로는 스스로와 세상 모두에게 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 |
<사진=CGV아트하우스> |
그러나, 이 영화에는 다른 폭력물과 다른 무언가가 있다.
“알은 곧 세계이며, 새로이 태어나려는 자는 그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라는 메시지다.
차이나타운의 엄마는 우리가 아는 그 엄마가 아니다.
따뜻한 마음도 온화한 미소도 없는 냉혹함과 끝까지 살아남는 자만 살려둔다.
엄마는 다 죽어가는 강아지의 숨통을 끊어주며, 아이에게 이렇게 말한다.
“너는 왜 바라보기만 하고 도와주진 않니? 너도 쓸모 없어지면 죽일 거다.”
엄마의 자궁은 태아에게는 완전한 하나의 세계이다. 그러나 그 순간은 10개월에 지나지 않는다.
곧 태아는 엄마의 자궁에서 세상 속으로 나오게 되고, 원튼 원하지 않든 살기 위해 원래 있던 곳을 탈출 해야 한다. 태어나려는 자는 자신이 속한 세계를 파괴해야만 하는 숙명을 지닌다.
그런 의미에서 차이나타운은 엄마의 자궁과도 같이 은밀하고 보호된 세계이며,
우리의 하늘 아래 같이 존재하면서도 우리의 영향과 상관없이 존재하는 치외법권 하에 있는 묘한 지점을 의미한다.
마우희는 우리가 아는 그런 엄마가 아닌 절대 권력을 가진 최고의 권력자로 군림한다.
어린 아이에게 엄마는 신과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죽인 엄마의 제사를 지내는 엄마 마우희는
결국 자신을 죽이고 자신의 자리를 대신해줄 누군가를 기다린다.
여기서 죽음은 종말을 의미하며, 종말은 새로운 시작으로 이어진다.
엄마는 자신을 대신할 누군가(일영)의 등장은 자신의 죽음을 의미함에도 슬퍼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묵묵히 자신의 책무를 다한 사람이 가진 시원섭섭한 그런 심정일지도 모른다.
죽음으로써 자유로워지고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아이러니가 차이나타운이 가지고 있는 비밀이며
이는 우리의 삶의 비밀스러움이기도 하다.
2015-06-22 08:31 박소진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장(′영화 속 심리학′ 저자)
영화는 여성을 중심으로 내세운 '여성느와르' 장르라 충분히 흥미롭다.
늘 느와르장르에서 약자로 등장했던 이들과는 사뭇 다르다.
'노출'로 희생(?)해야 했던 여배우들과 달리, 이 작품의 주연 여배우들은 극의 뿌리를 휘어잡고 있다.
카리스마로 똘똘 뭉쳐 권려과 배신, 음모가 가득한 남성과는 달리,
그들과도 비슷하지만 왠지 모르게 다른 듯한 여성들의 심리가 묘하게 녹아 있기도 하다.
순수하면서도 설레던 소녀감성, 그리고 무뚝뚝하게 그려진 모성애, 그럼에도 그들의 표현방식은 남성들 못지 않다.
가족에게서 버려진 사람들, 하지만 극중 인물들은 '엄마, 오빠, 누나'처럼 진짜 가족같은 지칭을 붙인다.
쓸모 없는 존재처럼 버려졌지만, 쓸모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과정 또한 치열하게 표현된다.
이런 아이러니한 상황들은 한편으로는 '집과 가족'에 대한 갈망이 녹아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맹수 사회같은, 거의 짐승에 가까운 모성애를 표현하는 '엄마'의 모습은
식구(食口)를 넘어 약육강식 사회의 현실성을 보여주려는 노력도 충분히 엿보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