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 자료/심리학관련

자아존중감 척도

수영루치아 2011. 7. 7. 12:54

♣ 자아 존중감 척도
이 검사는 로젠버그(심리학박사)가 개발한 당신의 자아존중감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지 입니다.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문항과 척도검사입니다.


1.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3.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4.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일을 잘 할 수가 있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5. 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6.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7.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8. 나는 내 자신을 좀 더 존경할 수 있으면 좋겠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9.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 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10.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 평가 방법
1) 1번, 2번, 4번, 6번, 7번의 점수는 아래와 같이 산출합니다.
보기(1): 1점 / 보기(2): 2점 / 보기(3): 3점 / 보기(4): 4점

2) 3번, 5번, 8번, 9번, 10번의 점수는 아래와 같이 산출합니다.
보기(1): 4점 / 보기(2): 3점 / 보기(3): 2점 / 보기(4): 1점

 

합계점수 보는 법

총점수가 높을수록 좋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집단의 평균치 이상이면 보통정도로서

자아 존중감이 좋은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평균치 이하의 경우엔 자신을 찾는

방법을 통해 자아 존중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마음과 생각의 점검을 하여 높여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아존중감은 삶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것으로서 자신과 주위에서 격려하여 서로의

존중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면 건강한 삶이 되실 것입니다.

※ 2004년 세계인의 조사자료 기준 : 한국인의 평균치는 29.1입니다.
※ 이 척도는 로젠버그가 개발한 검사지로서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설문지입니다.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방법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을 스스로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높아지고도 하고 낮아지기도 합니다.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여길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부정적으로 여길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스스로를 소중히 여기고 스스로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푼다.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푼다는 것은 내가 실수하거나 실패

 

했을때도 비난하거나 인격을 깍아내리거나 질책,비웃음,나무람, 꾸중같은 방법으로

자신을 공격하지 않는 것입니다.

 

스스로에게 비난 꾸중 나무람 질책 같은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책임감 있게

일을 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있지요.

 

물론 실수를 했을때 자신이 잘못한 것은 맞지만 그 사람의 행동이 그 사람인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여러가지 행동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행동은 수단이고 우리는 본질이며

각 개인의 개성과 인격을 신성한 것입니다.

 

'조건적인 관계를 맺는 가족에서는 한 개인의 가치와 소중함을 행동으로 평가한다.

그런데 우리의 행동은 모두 복잡한 세상을 배우고 이해하려고 하는 '수단'일 뿐이다.

자연스럽고 자신감 넘치는 행동도, 뒤틀린 방어적 행동도 모두 수단일 뿐이다.

수단은 본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당신의 행동은 한 인간으로서 당신의 가치에

조금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자신의 행동이 자신의 가치와 중요성을 반영한다고 믿게 되면

모든 것이 부자연스러워 진다. 조금이라도 상처를 덜 받기 위해 의존적으로 행동하거나

덫에 걸린 동물처럼 불안과 두려움에 떨며 어색하게 행동한. -가족의 심리학 中- '

 

 스스로를 비난하고 질책하고 나무라는 것은 자아존중감을 약화시키지만 자신의 의견과

감정을 인정해주고 자신을 존중해주면서 자신이 노력했다는 것을 인정해면

자아존중감이 높아져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