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 자료/심리학관련
착시 - 사물 제대로 보고 있는 것일까?
수영루치아
2011. 3. 11. 11:50
[재미있는 눈과 안경이야기]
당신이 지금 보고 있는 사물들이 정말 올바로 보이는 것일까요. 과연 그럴까요. 사실 우리는 우리의 눈에 속고 있습니다. 엄청난 왜곡이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냥 지나쳐가기도 하고 이용하면서 살아가기도 합니다.
지금부터 우리가 잘못보고 있는 여러 가지를 그림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가장 흔하게 혼동할 수 있는 'Zollner' 착시가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 길다란 사선(斜線)들은 평행하게 놓여진 수직선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수직선들은 평행하게 놓여 있지만, 사선들로 인해 심리적으로는 삐뚤삐뚤하게 보이게 됩니다.
다음으로 'Silk hat'의 착시가 있습니다. 사물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착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착시현상입니다. 그림을 보면 세로가 더 길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높이와 폭은 같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아래쪽의 폭은 좁고, 위쪽은 두꺼워 상대적으로 길이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평행선의 착시'도 우리가 흔히 겪는 것 중 하나죠. 수직의 평행선이 가운데로 옮겨 가면서 서로 떨어져 보이기도 하고, 가까이 붙어 있기도 합니다. 이 효과를 최초로 언급한 사람은 독일의 심리과학자 프리드리히 쵤르너입니다. 그는 수직선을 감싸고 있는 사선들이 서로의 간격을 차이나게 해주고 있다고 설명했죠.
'회색점의 착시'는 마치 마술을 보고 있는 듯 하죠. 그림을 가만히 보고 있으면 흰선이 교차하고 있는 흰 부분에 뿌연 회색의 점이 나타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합니다. 검은 정방형의 네 변에서 대비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흰선은 밝아 보이는 것이죠. 반면 교차되는 지점은 상대적으로 흰 공간이 많아지면서 대비가 약해지고, 이는 곧 회색의 점 형태로 우리 눈이 착각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같은 크기인데도 불구하고, 차이를 느끼게 만드는 'Delboef' 착시도 있습니다. 큰 원들에 둘러싸여 있는 원과 작은 원들에 둘러싸여 있는 원의 크기는 달라 보입니다. 분명히 같은 크기인데도 말입니다. 이는 우리 눈이 주변 환경에 따라 판단을 잘못 내리고 있기 때문이죠.
자 그럼 마지막으로 6번 그림을 한번 보실까요. 가만히 그려놓은 그림이 팽팽 돌아가죠? 우리 눈은 여전히 우리를 속이고 있습니다.
기사제휴=눈과 안경 문화 콘텐츠 전문제작사 아이앤지닷컴 www.eye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