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 자료/심리학관련

문장완성검사(SCT)

수영루치아 2008. 5. 27. 15:52

                    문장완성검사(SCT)


1. 검사의 목적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 SCT)는 원래 개인의 지적능력을 측정하고 개인의 태도와 인성에 대한 통찰을 얻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지적 능력을 측정하는 부분은 신뢰로운 채점 기준을 마련하기가 어려워서 점차 관심의 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태도와 인성 사정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검사 중의 하나로 최근에 미국 심리검사의 사용에 관한 조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검사이다.

  문장완성검사가 투사법인지 반투사법인지 혹은 객관적인 검사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어떤 학자는 피검사자 자신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인성을 알아내기 위한 간접적이 아닌 직접적인 접근법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일부 학자는 피검사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자신의 인성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하며 문장완성검사를 다른 투사법(예; 로샤 검사, TAT)에서 얻은 정보를 보충하는데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2. 검사의 구성 내용

문장완성검사는 완성되지 못한 많은 문장들을 아동이 구두로 혹은 글로써 완성하는 것으로, 국내에 여러 형태가 번역되어 나와 있는데, 여기에서 소개하는 검사는 Slater-Gallagher(1981)의 아동용 문장 완성 검사를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으로 총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윤치연, 2000). 특히  이 검사는 자기, 친구, 가족, 학교 등 4가지 영역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부록 1).

 

3. 검사의 실시 요령

  검사의 실시에서 어떤 검사 개발자는 “문장을 읽었을 때 맨 처음 마음 속에 떠오르는 것을 말하거나 쓰거나 하여 가급적 빨리 완성하시오”라고 지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빨리 반응할 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과도한 의식적인 통제 즉 자기방어를 피하기 위해서이다. 다른 검사 개발자들은 피검사자의 뜻대로 문장을 완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깊은 생각을 통해서 얻은 진정한 감정이 실린 반응이 자아 과정에 대한 좋은 단서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때 피검사자가 어떤 특정 내용을 기피하고 반응을 표현하는가를 분석한다. 아동의 연령과 검사의 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시시간은 20분에서 30분 정도 소요된다.


4. 검사 결과의 해석

  피검자가 질문에 대해 보이는 자발적인 반응을 분석하여 태도나 인성이나 전반적인 심리적 적응을 결정한다. 무한히 다른 유형의 반응이 나올 수 있어 구조화된 채점체계를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검사의 채점 방법에 관해서는 계속해서 논쟁이 있어 왔다. 따라서 검사자는 문장완성검사를 통해 얻은 피검자의 인성에 대한 임상적인 인상을 면담이나 다른 투사검사 및 행동관찰 등을 통해 얻은 정보에 통합시켜 태도나 인성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검사자의 편견이 작용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대체로 채점기준을 (a) 내용과 감정의 유형 (b) 대답의 보편성에 두는 경향이 있다.

  아동들의 행동은 자기, 가족, 또래, 학교환경 등 4영역의 지각과 이러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각을 조사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아동의 지각은 아동의 욕구지향과 자아평가를 조사함으로써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교육적 혹은 치료적 중재를 개발하기 위해 내용을 분석할 때 참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왜곡되거나 갈등적이거나 맥락에 맞지 않는 사고과정을 확인하기

  2. 부정확하고 억제적이고 과잉일반화되어 있고 방어적인 지각을 확인하기

  3. 자기패배와 부적응적인 행동을 확인하기

  4. 환경에서 오는 압력, 지각, 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5. 자아의 강함, 긍정적인 자기지각, 적응적인 행동을 확인하기


  일반적으로 문장완성검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각 반응유형은 <표1>과 같다.


<표1> 문장완성검사의 반응 유형

 유  형

                   반    응    내    용    

고   집   형

내용의 변화가 적고, 특정 대상이나 욕구를 고집하며 반복이 많음

 (인성의 경직성, 흥미의 거짓임을 나타냄)

감정 단반응형

짤막한 감정적 어휘로 반응함(저지능이나 감정통제가 되지 않음)

장   황   형

장황하게 빽빽하게 적어 놓음(신경증적이거나 강박 성향)

자기  중심형

어느 문항이고 자기 중심의 주제로 바꿈(미성숙)

허위  반응형

도덕적인 반응으로 일관(자기를 잘 보이게 하려는 방어태도)

공상  반응형

비현실적인 생각이나 공상(도피적인 인성 혹은 검사에 대한 방어적 태도)

모   순   형

검사 전체에 모순(무의식 중의 갈등)

반   문   형

확실히 결정짓지 못함(권위에 대한 반항의 표현)

은   닉   형

“말할 수 없다”와 같은 반응(자기방어적 태도)

거   부   형

반발(방어적 태도)

병적  반응형

망상(정신분열증)



  검사 결과의 해석은 일반적으로 성격적 요인으로써 ①지적 능력 측면 ② 정의적 측면 ③ 가치지향적 측면 ④ 정신역동적 측면에서 이루어지며, 반면에 결정적 요인으로써 ① 신체적 요인 ② 가정적/성장적 요인 ③대인적/사회적 요인에서 이루어지며, 그 분석을 통해 그 개인의 성격이나 적응 상태를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해석시 유의할 사항은 짧게 그리고 자유롭게 표현된 문장에는 감춰진 의미가 중요한 단서가 되어 있는 일이 많기 때문에 수량적 평가는 의미가 없다. 또 전체를 통해 잘 읽어 보고 일관된 특징, 표현상의 모순, 미묘한 감정, 각 영역에서의 방향성, 타인에게 비춰지는 자기의 모습, 진기한 반응, 이해하기 어려운 반응 등을 간추려 보아야 한다.

 

 

아동용 문장 완성 검사


 이름 :                     (남,  여)  나이 :            ()  학년 :          실시일 :              

다음의 낱말로 시작되는 문장을 완성시켜 보십시오.

반드시 자기의 생각을 솔직하게, 하나도 빠뜨리지 말고 모두 써 주세요.


    1. (P) 친구들이 좋지만                                                                            .

    2. (F) 우리 아빠는                                                                                .

    3. (S)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게 되면, 나는                                                 .

    4. (S) 내가 알고 싶어하는 것은                                                                    .

    5. (E) 우리 선생님은                                                                              .

    6. (S) 바보같게도 내가 무서워하는 것은                                                            .

    7. (E) 우리 선생님에게 화가 날 때는                                                               .

    8. (P) 많은 남자아이들은                                                                          .

    9. (P) 내가 가장 좋아하는 친구는                                                                  .

   10. (E) 수학은                                                                                     .

   11. (P) 많은 여자아이들은                                                                          .

   12. (E) 학교의 가장 나쁜 점은                                                                      .

   13. (F) 엄마와 아빠가 함께 있을 때                                                                 .

   14. (S) 내가 더 행복해지려면                                                                       .

   15. (P) 친구들이 알지 못하는 두려움은                                                              .

   16. (S) 내가 가장 하고 싶은 일은                                                                   .

   17. (F) 우리 가족은                                                                                .

   18. (F) 우리 엄마는                                                                                .

   19. (E) 학교에서 내가 힘들어 하는 일은                                                             .

   20. (F) 내가 아빠에게 바라는 것은                                                                  .

   21. (E) 선생님이 하시는 일은                                                                       .

   22. (S) 나에게 가장 좋았던 일은                                                                    .

   23. (F) 나는 아빠를 좋아하지만                                                                     .

   24. (S) 내가 가장 걱정하는 것은                                                                    .

   25. (P) 친구들이 귀찮다고 생각할 때                                                                .

   26. (S) 내가 가장 슬펐을 때는                                                                      .

   27. (P) 여러 명이 함께 하는 운동은                                                                 .

   28. (P) 많은 친구들은                                                                              .

   29. (S) 내가 점점 자라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

   30. (P) 나이가 어린아이들은                                                                        .

   31. (E) 체육시간은                                                                                 .

   32. (F) 가족들이 나를 대하는 태도는                                                                .

   33. (E) 학교의 친구들은                                                                            .

   34. (F) 아빠와 내가 함께 있으면                                                                    .

   35. (S) 내가 가장 잘못 했던 때는                                                                   .

   36. (E) 학교에서                                                                                   .

   37. (P) 아이들이 나를 놀리는 이유는                                                                .

   38. (P) 아이들과 술마시는 것은                                                                     .

   39. (F) 엄마와 내가 함께 있으면                                                                    .

   40. (E) 여름에 학교에 갈 수 없게 된다면                                                            .

   41. (E) 선생님이 나를 바라보면                                                                     .

   42. (F) 우리 가족은 나를                                                                           .

   43. (S) 나에게 가장 좋지 않았던 일은                                                               .

   44. (P) 나보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은                                                                .

   45. (P) 나와 가장 친하게 지내는 아이는                                                             .

   46. (F) 나는 엄마를 좋아하지만                                                                     .

   47. (S) 내 몸은                                                                                    .

   48. (E) 학교 수업이 끝나면                                                                         .

   49. (F) 나의 형제(자매)는                                                                          .

   50. (S) 내가 화가 날 때                                                                            .

   51. (F) 내가 엄마에게 바라는 것은                                                                  .

   52. (E) 학교 수업은                                                                                .

   53. (F) 부모가 나에게 어떤 일을 하라고 하면, 나는                                                  .

   54. (E) 중학교(혹은 고등학교)에 갈 생각을 하면                                                     .

   55. (P) 친구랑 담배 피우는 일은                                                                    .

   56. (S) 내가 가장 잘 꾸는 꿈은                                                                     .

   57. (P) 내가 없을 때 친구들은                                                                      .

   58. (S) 나에게 힘든 일이 생긴다면                                                                  .

   59. (E) 나는 책을 읽을 때                                                                          .

   60. (F) 내가 가족에게 바라는 것은                                                                  .


         〈채점표〉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무응답

부적절함

N

%

N

%

N

%

N

%

N

%

자기(S)

 

 

 

 

 

 

 

 

 

 

가족(F)

 

 

 

 

 

 

 

 

 

 

또래(P)

 

 

 

 

 

 

 

 

 

 

교육(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