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는 문/건강한생활
손가락 빠는 버릇 제대로 고치기
수영루치아
2008. 4. 8. 11:04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요…
손가락을 많이 빠는 시기는 손을 스스로 입에 가져갈 수 있는 생후 3개월부터 6개월 사이. 생후 6개월 이후부터는 손가락이 아닌 다른 물건을 잡고 빨 수 있게 되므로 손가락을 빠는 습관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생후 6개월 이후의 아이가 깨어 있는 동안 입에서 거의 손가락을 떼지 못한다면 만 6세까지 고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영구치의 치열 이상, 손가락 모양 변형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본능적인 욕구다
아이들의 손가락 빠는 습관은 태어날 때부터 갖는 본능적인 욕구. 신생아들도 손가락을 물리면 잘 빠는 이유가 그것이다.
♤ 습관처럼 빤다
6개월 이후부터는 본능적인 욕구보다는 이가 나려고 할 때, 졸릴 때, 배가 고플 때 습관처럼 빠는 경우가 많다.
♤ 양육자의 태도에 의해 나타난다
엄마나 주 양육자가 아이에게 무관심하거나 너무 엄격할 때도 손가락을 빨 가능성이 높다.
♤ 심리적인 안정을 찾는다
자라면서 여러 가지 상황들을 접하게 되면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면 손가락을 빨면서 안정을 느끼기도 한다.
손가락 빠는 버릇 고치는 아이디어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 아이가 손가락을 빨면서 안정을 얻기 때문인 경우가 많으므로 무관심한 방법이나 강제로 빼는 등의 방법은 오히려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가능하면 지루한 시간이 생기지 않도록 손을 많이 쓰는 놀이를 함께하고 말귀를 알아듣는 아이들에게는 꾸준히 칭찬을 해줘서 손가락을 빨지 않을 만한 동기를 부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무조건 혼내지 않는다
최소 몇 개월이 걸린다고 생각하고 서서히 줄여나가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먼저 아이를 믿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자. 아이가 손가락을 빨고 있어도 편안하게 받아주어 일단 불안함을 느끼지 않게 한 다음 손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난감을 쥐어주는 방법 등으로 아이의 관심을 손가락으로부터 돌린다.
♠ 돌 이전 아이에게는 입으로 빠는 장난감을 준다
생후 12개월 이전의 아기라면 입으로 빨 수 있는 다른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한다. 노리개 젖꼭지는 손가락 빨기보다 아이들이 일찍 싫증을 내어 나중에 중단시키기가 보다 수월하다.
♠ 편안한 잠자리를 마련해준다
기분이 나쁘거나 낯선 분위기의 잠자리에서 손가락을 빠는 아이가 많다. 이럴 때는 아이가 좋아하는 인형이나 장난감, 베개, 이불 등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 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놀이를 해준다
신체 활동이 가능한 만 1세 이후의 아이라면 또래 친구들과 놀게 하거나 몸이나 손을 움직이는 놀이를 해줌으로써 손가락 빠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말귀를 알아듣는 아이는 설득한다
만 2∼3세 이후의 아이라면 ‘손가락을 빨아서는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충분히 알아들을 수 있도록 차분하게 설득하는 것이 좋다. 아이가 손가락을 빨지 않았을 땐 반드시 칭찬해주거나 종이에 스티커를 하나씩 붙여나가는 등 계속 손가락을 빨지 않을 만한 동기를 부여해준다.
![]() |
♤ 본능적인 욕구다
아이들의 손가락 빠는 습관은 태어날 때부터 갖는 본능적인 욕구. 신생아들도 손가락을 물리면 잘 빠는 이유가 그것이다.
♤ 습관처럼 빤다
6개월 이후부터는 본능적인 욕구보다는 이가 나려고 할 때, 졸릴 때, 배가 고플 때 습관처럼 빠는 경우가 많다.
♤ 양육자의 태도에 의해 나타난다
엄마나 주 양육자가 아이에게 무관심하거나 너무 엄격할 때도 손가락을 빨 가능성이 높다.
♤ 심리적인 안정을 찾는다
자라면서 여러 가지 상황들을 접하게 되면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면 손가락을 빨면서 안정을 느끼기도 한다.
손가락 빠는 버릇 고치는 아이디어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 아이가 손가락을 빨면서 안정을 얻기 때문인 경우가 많으므로 무관심한 방법이나 강제로 빼는 등의 방법은 오히려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가능하면 지루한 시간이 생기지 않도록 손을 많이 쓰는 놀이를 함께하고 말귀를 알아듣는 아이들에게는 꾸준히 칭찬을 해줘서 손가락을 빨지 않을 만한 동기를 부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무조건 혼내지 않는다
최소 몇 개월이 걸린다고 생각하고 서서히 줄여나가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먼저 아이를 믿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자. 아이가 손가락을 빨고 있어도 편안하게 받아주어 일단 불안함을 느끼지 않게 한 다음 손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난감을 쥐어주는 방법 등으로 아이의 관심을 손가락으로부터 돌린다.
♠ 돌 이전 아이에게는 입으로 빠는 장난감을 준다
생후 12개월 이전의 아기라면 입으로 빨 수 있는 다른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한다. 노리개 젖꼭지는 손가락 빨기보다 아이들이 일찍 싫증을 내어 나중에 중단시키기가 보다 수월하다.
♠ 편안한 잠자리를 마련해준다
기분이 나쁘거나 낯선 분위기의 잠자리에서 손가락을 빠는 아이가 많다. 이럴 때는 아이가 좋아하는 인형이나 장난감, 베개, 이불 등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 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놀이를 해준다
신체 활동이 가능한 만 1세 이후의 아이라면 또래 친구들과 놀게 하거나 몸이나 손을 움직이는 놀이를 해줌으로써 손가락 빠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말귀를 알아듣는 아이는 설득한다
만 2∼3세 이후의 아이라면 ‘손가락을 빨아서는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충분히 알아들을 수 있도록 차분하게 설득하는 것이 좋다. 아이가 손가락을 빨지 않았을 땐 반드시 칭찬해주거나 종이에 스티커를 하나씩 붙여나가는 등 계속 손가락을 빨지 않을 만한 동기를 부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