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루치아 2007. 5. 25. 10:52

분노

분노는 자신의 욕구가 위협받을 때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다. 위협을 받았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스스로를 방어하거나 회피하고 도망가는 것이고, 두 번째는 분노인데 이것은 싸움을 선택하는 것이다.

 

왜 우리는 화가 날까?
분노 감정의 생물학적 원인은 유전자와 호르몬의 영향이다. 개인의 유전적 요소(성격과 기질)에 따라 공격성과 분노에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남자는 여자보다 더욱 공격적이기 쉽다. 이것은 주로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호르몬 때문이다. 
또 공격성은 학습된 행동과 스트레스에 기인한다. 우리는 부모로부터 분노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배우게 된다. 즉 부모가 역할 모델이 되는 것이다. 부모가 이성을 잃은 모습을 볼 때 자녀는 그것을 모방하게 된다 .
아동이 소리치거나 분노 반응을 보일 때 사탕과 같이 아동이 좋아하는 것으로 달래면 아동은 화내고 분노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다시 말해서 분노가 폭발했을 때 오히려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게 된다는 것을 잘못 배우게 된다. 이로 인하여 분노가 자신만의 표현 방식이 되기도 한다.
거부, 공포, 편견과 같은 아동기 경험이 아동의 정서에 영향을 미쳐 청년기와 어른이 되었을 때 공격성과 분노 폭발로 나타나기도 한다.
외적 원인은 짜증, 화가 나거나 잠이 부족하고 배가 고프거나, 학교에서 어려움이 있거나, 신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하거나, 알코올 문제가 있거나, 시험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분노에 관하여 아동에게 말을 한다.
분노를 보였을 때의 좋지 않은 점들을 아동에게 설명한다. 분노는 우정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인간관계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자아 존중감, 학교 숙제, 경제적 문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고 범죄자로 만들기도 하는 것이 분노이다. 위경련, 심장 문제, 고혈압과 같이 몸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분노를 다루기 위한 방법
- 100까지 세기
- 그림그리기
- 물이나 주스 마시기
- 생각적기
- 재미있는 이야기 적기
-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 음악듣기
- 목욕하기
- 분노 일기 쓰기
- 위협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농담하기

 

분노를 적절히 표현하게 한다. 누군가에게 소리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분노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 있으면 좋다. 다른 사람에게 말을 하기 전에 흥분을 이완시킴으로써 편안하게 하는 것이 좋다.

출처 : 아이가 눈을 깜박거려요  Uttom Chowdhury 지음   김광웅, 이영나 옮김
         시그마프레스